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leuze의 ‘기호론’ 관점에서 본 유아 문학교육의 방향 탐구

이용수 1009

영문명
Contesting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G. Deleuze s Theory of S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서정(Lee, Seo Jung) 임부연(Lim, Boo Y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6호, 831~84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Deleuze의 예술적 ‘기호’가 가진 역량에 관심을 가지면서 문학을 문학 외부와의 관계에서 볼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여, 문학을 작품이 지닌 내적 논리에서 해방시키고 주체와의 끊임없는 마주침과 그 효과로 사유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아 문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Deleuze의 기호론을 감응과 마주침, 그리고 주체의 내재성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 이를 문학작품이 가지는 고유성이나 특수성과 연계하여 유아 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유아가 문학을 ‘감응’의 대상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교사는 문학을 가르친다는 생각보다는 유아들이 문학을 예술 작품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유아 교사들은 유아들이 문학 작품 안에서 주어진 의미만을 해석하고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의미를 생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학 작품을 경험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은 운동하는 주체로서 문학을 통해 무한한 변화와 차이를 기대할 수 있는 잠재들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인정하는 문학교육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유아 문학교육의 방향일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which can be brought about by ignoring the inherent inner nature of literature work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examined Deleuze s theory of sign focusing on the affect, encounter, and immanence of the subject, and examined the need for improving young children literature in relation to literary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literature works. First, literature education should allow young children to face literature as a subject of affect .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have experience of encountering various literature works so that young children can produce their own mea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children who read literature works as subjects of movement. Teachers should help children to enjoy literature as a work of art, rather than to teach literature, so that children can face literature as a subject of affect . Therefor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not only interpret and follow the meaning given in literature works, but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various literature works in order to produce their own meaning. In addition, since children exist as potential subjects to expect infinite change and difference through literature as a subject of movement, literature education recognizing this will be the direction of true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Deleuze의 기호론
Ⅲ. Deleuze의 ‘기호론’ 관점에서 본 유아 문학교육의 방향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서정(Lee, Seo Jung),임부연(Lim, Boo Yeun). (2018).Deleuze의 ‘기호론’ 관점에서 본 유아 문학교육의 방향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6), 831-849

MLA

이서정(Lee, Seo Jung),임부연(Lim, Boo Yeun). "Deleuze의 ‘기호론’ 관점에서 본 유아 문학교육의 방향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2018): 831-8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