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이용수 3798

영문명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Application of Pender s Health Promotion Model -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석영(Han, Seok­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781~80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의 관련변인과 영향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는데 있다. K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사용 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증진행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여 Scheffé test로 사후검증하였고,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건강증 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간호대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은 2.66점이었고, 건강증진행위와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이전 건강관련행위(r=.300, p=.000), 지각된 장애성(r=.178, p=.000), 행위관련 감정 (r=.106, p=.034), 행동계획수립(r=.195, p=.000)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년으로 2학년 이 전체 변이의 21.8%를 설명하였고, 이전 건강관련행위, 행동계획수립,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장애성, 연령과 함께 전체 변이의 36%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인 특성에서 학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년 및 연령에 따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이전의 건강관리행위, 행동계획수립,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장애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 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nursing college student’s health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399 participant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in at K metropolitan city. For data analysis, SPSS/ WIN 19.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ing of 6 subscales was 2.66. The highest mean score was 2.80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lowest one was 2.54 in ‘Physical activity’. The HPBs were positively associ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 (r=.300, p=.000),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r=.178, p=.000), and ‘activity related affect’ (r=.106, p=.034),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r= .195, p=.000).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2nd grade’. It explained 21.8 %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Prior related behavior’,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ctivity related affect’,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age’ explained 3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considering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ust be mutually planned interactive health prevention progra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석영(Han, Seok­Young). (2018).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8), 781-801

MLA

한석영(Han, Seok­Young).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2018): 781-8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