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재교구 연구 및지도법 교재 분석

이용수 1533

영문명
Analysis of Textbooks on Teaching Material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소영(Lee, So 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8호, 509~52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법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교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환기시키고 예비유아교사들이 유아를 보다 잘 이해하여 발달에 적합한 교재 교구를 광의적 개념에서 발견하고 개발하는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2017년 2월 출판된 13권의 대학교재를 선정 및 수집하였다. 수집된 교재들은 발행연도, 저자, 이론편과 실제편의 구성 비율을 파악하고 이론편은 내용 분석을 통해 범주별로 구성 비율을 알아보았으며, 실제편은 실제 활동 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 교재의 전체 구성 비율에서 이론편 보다 실제편의 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편의 내용을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하위교과별 전체 구성 비율이 ‘10.교육활동 지도’가 31.0%, ‘8.교재교구 제작’이 18.6%였으며 기초 이론적 배경은 데일의 경험의 원추이론(44.4%)이 역사 및 사상적 배경은 몬테소리(74.8%)의 비율이 높았다. 실제편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하위 교과별 구성을 분석한 결과, 활동을 분류하는 기준은 흥미영역별로 구성 된 교재가 6권으로 가장 많았고 실제 활동을 구성 할 때는 활동제목, 활동목표, 활동방법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유아교사가 될 예비유아교사들이 보다 광의적이고 다양한 교재교구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 질 수 있도록 교재교구 연구 및 지도법 교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xtbooks on teaching material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in an effort to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nd to assi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in discovering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ppropriate at their development in a broad sense. 13 colleg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etween August, 2010, and February, 2017, were selected and gathered. The collected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year of publication, author and the ratio of theory and practice. As for theoretical materials, a content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component ratio of each category. Regarding practical materials, what each activity actually dealt with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the practical materia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heoretical ones when the overall component ratio of the textbooks on teaching material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was analyzed. When the content of the practical materials was analyzed by category and subject, 10. Guidance of educational activities accounted for 31.0 percent overall, and 8. The produc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accounted for 18.6 percent. As to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Dale s Cone of Experience Theory(44.4%) was most dominant, and Montessori theory(74.8%) was most prevalent in terms of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In regard to the component of the activities of the practical materials by subject, interest area was most widely selected as the criterion of activity classification, as six textbooks that were largest in number were organized by interest area. And the titles, objectives and methods of the activities were mentioned in all the textbook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of the right direction for textbooks on teaching material research and teaching methods was suggested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going to b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to be well ready to make good use of a variety of comprehensiv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목차

Ⅰ. 서 론
Ⅱ.연구방법
Ⅲ.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영(Lee, So young). (2018).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재교구 연구 및지도법 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8), 509-528

MLA

이소영(Lee, So young).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재교구 연구 및지도법 교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2018): 509-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