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儒家의 죽음관

이용수 111

영문명
Confucianism s View of Death : Continuation of Life and Death and Death of Immortali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정병석(Jung Byung-seok)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58집, 343~37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가는 죽음이라는 자연적 필연성의 실존 문제를 도덕적 필연성의 문제로 전환시켜 놓고 있다. 삶과 죽음은 도덕적 필연성 혹은 사명이라는 관점을 통하여 연속된다. 왜냐하면 생사의 命은 비록 인력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관점은 사람들이 살아있을 때 인륜과 도덕을 온 몸으로 실천하도록 만드는 작용을 하게 만들고, 또 죽음을 맞이하여서도 도덕적 사명을 완성하는데 조금의 어떠한 주저함도 없애주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자연의 필연성은 도덕적 필연성으로 변하여 유가들로 하여금 살아있을 때의 충실함과 죽을 때의 당당함을 얻게 만들어 준다. 도덕적 생명의 불후를 추구하는 것이 유가 생사관의 핵심이지만 그들은 또한 효와 禮를 통해서도 산자와 죽은 자를 연결시킨다. 유가는 예를 통하여 死者를 삶의 영역에 남겨두고, 예를 통하여 사자와의 관계를 지속하기 때문이다. 유가가 죽음을 초월하는 생사 연속의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祭禮 등의 孝의 실천을 통하여 조상과 후손은 血脈을 통하여 면면히 끊어지지 않고 이어진다. 두 번째는 자신의 이름을 역사 속에 기록하는 역사적, 사회적 不朽이다. 세 번째는 개별적 생명을 우주의 대생명 속에 집어넣어 영원함을 얻는 天人合一에 있다. 이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를 이루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바로 도덕의 실천여부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가의 생사관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공자의 생사에 대한 태도, 晝夜개념의 은유를 통해 생사관을 살펴보고, 죽음 현상에 대한 유가의 관점, 유가의 禮에 보이는 생사관, 불후와 죽음의 초월 등의 문제를 통하여 삶과 죽음의 문제를 분석하려고 한다.

영문 초록

Confucianism shifts the existence problem of natural inevitability of death to the issue of moral inevitability. Here, life and death continues through the moral inevitability and a mission perspective. The reason is that the mandate of life and death cannot be changed by human, but this standpoint enables humanity and morality to practice with every fiber of one’s body, when people are alive, and to remove any hesitation in completing moral mission to embrace death. Here, natural inevitability changes to moral inevitability and enables Confucianists to gain faithfulness when they are alive and dignity when they die. Although, pursuing immortality of moral life is the core of Confucianism’s view of life and death, the Confucianists also connect the alive and the dead through filial piety and manners. The reason is that Confucianism leaves the dead in the domain of life, and continues relationship with the dead through manners. The ways of the continuation of life and death beyond death can be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way is that the ancestors and descendants are ceaselessly connected through blood relationship via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including ancestral rituals. The second one is historical and social immortality recording one’s own name in the history. The third one is the union of god and men through which perpetualness is gained by putting individual life into the great life of the universe. What is necessary to achieve one of the three things mentio mentioned above is moral practice. This paper delves into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rough Confucius’ attitude on life and death and the metaphor of day and night concept to examine Confucianism s view of life and death. This study actually analyzes the issue of life and death through Confucianism’s point of view on the death, the view of life and death viewed from Confucianism’ manners, immortality and transcendence of death.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未知生,焉知死” : 공자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
Ⅲ. “晝夜卽生死” : ‘生生之理’를 통해 본 삶과 죽음의 연속
Ⅳ. “愼終追遠” : 유가의 喪禮와 祭禮에 보이는 생사의 연속
Ⅴ. “死而不朽” : 유가에서 죽음의 초월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석(Jung Byung-seok). (2014).儒家의 죽음관. 민족문화논총, 58 , 343-375

MLA

정병석(Jung Byung-seok). "儒家의 죽음관." 민족문화논총, 58.(2014): 343-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