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및 기능별 구현 양상 분석 연구

이용수 215

영문명
Analysis of the 2014 Digital Textbook Structures and Function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숙(Kim Hye Sook) 이미미(Lee Mi mi) 조경철(Cho Kyoung Cheol)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11호, 427~45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책교과서와 차별화되는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체계의 특징과 디지털 교과서에 구현된 기능을 분석하여 차후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4년에 적용된 디지털교과서 를 대상으로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와 디지털교과서 기능별 구현 사례를 분석하였 다. 먼저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분석을 통해 현행의 디지털교과서는 지나치게 경직 되고 정형화된 구성 체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성 방식을 다양화하고, 서책교 과서와 차별적인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교과서만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기 어려운 구조였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서책교과서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디 지털교과서를 개발하도록 하는 제한을 없애거나 대폭 완화하여 서책교과서와 차별 성을 추구하고, 출판사별․종별 다양성을 갖출 수 있도록 개발 방향을 수정할 필요 가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교과서 기능별로 우수 사례와 수정 보완 필요 사례 분석결 과, 교수학습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기능과 콘텐츠를 구현한 사례도 있었지만, 무 의미한 디지털화, 서책교과서와의 차별성 미약, 디지털화를 통해 오히려 오개념을 심어주거나 서책교과서에서 의도한 학습 효과를 왜곡시키는 사례도 있음을 확인하 였다. 따라서 앞으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할 시에는 학습자료 및 콘텐츠의 성격이나 특성에 적합한 기능을 구현해야 하며, 학습의 흐름 및 효과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 과 양의 자료를 추가하고, 자료의 제공 및 구성 방식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insights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features that enhance student learning through careful analysis of 2014 Digital Textbooks currently used in laboratory schools. The analysis focus was on overall structures and functions added to the 2014 digital textbooks.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2014 digital textbooks had inflexible and formulaic structure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2014 digital textbooks did not have diverse modes adaptive to students’ needs and learning and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paper-based textbooks.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the current restriction that binds Digital Textbooks to paper-based textbooks should be re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purposes on 10 functions added to Digital Textbooks, we noted cases that need improvement along with outstanding cases that made possible new kinds of student learning using digital environments. The cases asking for improvements included cases that added meaningless functions, caused student misunderstandings, showed no difference from paper-based textbooks, and misled students in the learning of cont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Digital Textbook developers need to pay closer atten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ontents,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previous knowledge and interests, and how to maximize the student learning and experience through technolog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의 동향 및 한계
Ⅲ.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숙(Kim Hye Sook),이미미(Lee Mi mi),조경철(Cho Kyoung Cheol). (2015).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및 기능별 구현 양상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11), 427-459

MLA

김혜숙(Kim Hye Sook),이미미(Lee Mi mi),조경철(Cho Kyoung Cheol). "디지털교과서의 구조도 및 기능별 구현 양상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2015): 427-4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