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이용수 65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 The Focusing Jeong Hwa-su's poetry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하상일(Ha, Sang-Il)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71~1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 『종소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목차
Ⅰ. 머리말
Ⅱ.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Ⅲ.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