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이용수 185
- 영문명
- A Study of Deep Ecological Aspects in Lee in Lee Seong-seon's Poetry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동명(Kim, Dong-My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293~32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성선 시인의 후기 작품에 나타나는 자연현상의 생성과 성장, 소멸에 관한 주제는 자연환경이 파괴된 오늘을 살아가는 해석자와 작품 간의 상호관계적 대화를 통해 현실을 반영한 문학적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이성선 시에 나타나는 자연지향은 심층생태주의적 입장에서 자연을 두고 논의할 때 주로 거론되는 관계론적 평등성, 유기론적 다양성, 순환하는 생태계와 동일한 사유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관계론적 평등성으로 유형화된 주제는 지구 생태계 내 개체적 존재들은 서로 하나의 전체를 향해 관련되어 있다는 방향으로 도출된다. 식물과 동물, 무기물을 대상으로 생태계의 관계론적 평등성이 도출되는 이 시들의 공통된 주제는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기인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생태계 내 존재들의 동등한 관계 정립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유기론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시에서는 지구생태계가 지닌 복잡성으로서의 다양성이 도출된다. 지구생태계는 그 자체가 원래 생식과 성장, 생멸, 자기복원력의 의지 등 다양한 생명현상의 능력을 지닌 생명체이며, 지구생태계 내 각 개체적 생명체는 각각의 유기체로서 그들의 다양성이 모여 지구생태계가 완성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순환하는 생태계가 유형화된 작품들의 공통된 주제는 자연생태계의 모든 개체적 존재는 생성하고 소멸하고, 죽고 부활하는 순환을 통하여 지구생태계의 생명현상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인간을 비롯한 동물계, 식물계 그리고 무기물까지 모두 평등한 존재로서 상호존중할 수밖에 없는 당위성이 성립된다. 이러한 세 가지 주제, 즉 관계론적 평등성, 유기론적 다양성, 순환하는 생태계를 드러내는 작품들은 생태계 파괴에 대한 비판보다는 해결방안의 형상화에 집중되어 있다. 공통적인 지향은 생태계 전체를 유기체적이며 전일적인 관계로 파악하고 그 관계의 대상인 모든 인간과 자연은 각 개별적인 존재로서 동등하며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opics about the birth, growth, and extinction of natural phenomena consistent in the works of Poet Lee Seong-seon allow for literary discussions to reflect the reality through communication of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the interpreters living in today's world where natural environments are destroyed and the works. It is
confirmed that the spirituality of nature in his poetry is in the same vein as relational equality, circulating ecosystem, and organic diversity, which are usually mentioned in nature discu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eep ecology. The topic classified as relational equality moves in the direction that all creatures within the earth's ecosystem are connected each other toward the whole one. The common topics of his poems represented by relational equality between plants and animals or between inorganic matters and ecosystems insist that equal
relationships should be first established between humans and other creatures in the ecosystem since the 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derived from human-centered thinking. his poems that show the organic diversity presents the diversity as the complexity of the earth's ecosystem. The topic evolving around organic diversity says that all the individual creatures in the earth's ecosystem are their own organic matters and gather together to create a harmonious natural state as a cosmic phenomenon. Finally, Then the common topic of his poems represented by circulating ecosystems tells that human and nature are the universal life community and in equal relationships, circulating, being born and extinct, dying and reviving. Thus the idea comes about that all the animals including humans, plants, and inorganic matters should respect one another as equal beings.
His works that reveal those three topics, namely relational equality, and organic diversity, circulating ecosystem, focus on the embodiment of solutions than causes of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They all pursue one common direction that the entire ecosystem is organic and whole as one and that all humans and nature are equal and deserve respect as individual being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Ⅲ.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