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이용수 418
- 영문명
- Parodied Discourse of 'Choonhyangdyeon' by In-hoon Choi and His Histor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차봉준(Cha, Bong-Ju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451~4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인훈의 단편소설 <츈향뎐>을 고전 <춘향전>과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에서 분석하면서 패러디 담론의 양상과 그것에 함의된 작가의 역사 인식을 파악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최인훈의 소설들은 등단 초기부터 일관되게 유지되어 온 환상적, 관념적 성향의 농후함으로 인해 반사실주의 소설로 거명되어 왔다. 아울러 작가의 세계에 대한 대응 방식도 현실 참여적 태도가 빈약하다는 측면에서 일부의 부정적 평가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인훈은 작가로서의 현실 참여를 내용적 차원이 아닌 ‘방법적 자각’이라는 형식적 차원 에서 구체화시켜 나갔는데, 그 대표적 방식이 패러디 기법이었다. 따라서 필자는 본 연구에서 최인훈이 <춘향뎐>을 중심으로 의도했던 효과와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인훈 소설에서 패러디가 갖는 의미를 작가 개인의 내면 의식 및 시대적 상황 인식에 결부시켜 분석했다.아울러 최인훈 소설이 표방하는 문학의 참여정신이 과연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 특히 형식적 실험을 통한 방법적 자각이 두드러진 패러디텍스트에서 작가의 미학적 자의식과 함께 부조리한 당대에 대한 역사인식이 어떤 식으로 강조되어 있는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작가가 표방하고 있는 본질적 저항의 실체를 확인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최인훈의 <춘향뎐>은 선행텍스트의 서사 담론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계획된 차이를 바탕으로 당대에 대한 비판적 역사 인식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개개의 인물들이 처한 현실을 ‘어둠’의 상황으로 상징한 것을 시작으로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이 현실적 공간을 벗어난 곳에서 성취되도록 전개한 서사의 후반부는 당대에 대한 비판적 성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춘향뎐>에 나타난 패러디 담론은 부정적 현실에 대한 본질적 저항이라는 작가의 역사 인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문학적 전략으로 결론내릴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between In-hoon Choi’s short story and the classic , to understand the aspect of parodied discourse and the author’s historical perspective implied in the book. In-hoon Choi’s novels have been dubbed as antirealist novels due to imbued fantastical and idealistic tendencies which were persistently maintained from the start of his career. Moreover, the author’s response to the world could not prevent negative assessment by some in that the actualistic attitude was lacking. However, In-hoon Choi specifically reflected the reality an author, by ‘methodical awareness’ not content-wise as a way of formality and the representing method for such way of formality is a parody. Thus in the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and meanings the author intended for by In-hoon Choi and based on such finding, analyzed the work with the combination of the meanings of parody in his novel with the author’s inner workings and context-awareness of the times. It
further set out to investigate how literary spirit was portrayed by In-hoon Choi’s novels while focusing on how his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corruptions of his times, along with his aesthetic self-awareness were stressed in parody texts with distinighuished methodical awareness through cursory experimenets. The study was
designed to witness the truth of fundamental resistance the author supported. In conclusion, by In-hoon Choi, adopted preceding text’s narrative discourse overall but at the same time, critical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time with the intended discrepancy. Namely, by symbolizing the reality each character was placed in as “darkness”,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where' Chunghyang and Monryong Lee’s love becomes actualized outside the realistic realm was the critical reflection of his tim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parodied discourse in was a literary tool to effective communicate the author’s historical perspective, the fundamental resistance against the pessimistic reality.
목차
Ⅰ. 서 론
Ⅱ. 최인훈 <춘향뎐>과 고전 <春香傳>의 상호 텍스트적 담론 분석
Ⅲ. ‘계획된 차이’와 비판적 시대 인식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