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이용수 605

영문명
Landscape of the City and the Inside of Park Taewon's novels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송기섭(Song, Ki-Seob)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56집, 421~4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태원의 초기소설들은 도시소설로서의 독특한 양식을 구현한다. 도시라는 근대 문명은 박태원의 소설을 이루는 리얼리티의 기원을 이룬다. 여기서 우리가 보다 주목할 것은 도시 그 자체의 사회학적 변모 양상이 아니라 그것에 접근하는 작가의 독특한 창작기법이다. 작가 자신이 자주 언표했을 뿐만 아니라 플롯을 통해 확연히 보여준 고현학을 먼저 떠올릴 수 있으며, 카메라 기법을 또한 이와 연관하여 분석의 도구로 떠올릴 수 있다. 이러한 층위의 분석은 박태원 초기소설을 해명할 중심축으로 이미 개념적 이해의 함의를 보여온 바이다.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 본 것은 그의 초기소설들이 고유하게 개발한 ‘시선’이다. 먼저 그 시선의 주체는 작가나 서술자의 그것이 아니라 작중인물에게 부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작가의 간섭을 배제하고 장면이나 사건을 제시하는 리얼리즘의 온전한 구현을 가져온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리하여 박태원은 그의 도시소설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사건을 전달하는 리얼리즘 형식에 이르게 된다. 시각 주체는 두 방식으로 부여되는 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처럼 한 인물에게 독점적으로 주어지는 경우와 『천변풍경』처럼 여러 인물에게 교차적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것이 단일하게 주어질 경우, ‘구보’와 같은 보기 위하여 움직이는 존재를 창조하고 중층적으로 주어진 경우, 『천변 풍경』에서처럼 고정된 장소에서 세계를 관조하는 인물을 창조한다. 박태원의 소설은 이들에 의하여 눈에 보이는 세계를 말하는 양식이 된다. 여기서 더 주목할 것은 그들이 단순히 보는 것만이 아니라 그 눈을 통해 사유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보는 대상이 도시의 외관이기보다 그곳 사람들의 몸들이라는 사실이다. 박태원의 도시 풍경을 이루는 것은 바로 그 도시의 사람들이다.

영문 초록

Landscape is something experienced by vision. The Landscape of city limits the sight. We have to walk around the street or draw public's attention to overcome it. “Writer Gubo's Day” was incarnated by the former, and “The Landscape of Ravine Side” was incarnated by the latter. Whatever the method of drawing attention was, it was a form of exploring city used in modernology. Park Taewon's modernology was a means of writing a novel forming city novels which contain the landscape of the city. In his landscape of the city is his professionalism as a writer. Park Taewon hoped to search for the life in the darkness of Seoul. He wrote stories that is focused on humanity. In “Writer Gubo's Day”, Gubo decides to possess his own life. He granted values on life in “The Setting Sun”, “Street”, and “Dreary Rain” as well. The Landscape of Ravine Side finds out the value of life in petty lives in Seoul. The life means absolution of human beings who have priority over fascination. The life he sought for correspond to labor of modern people, especially those who were in the city.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are people in the city and their body. Their lives are explored by the bodies and composed by possessing the bodies. The Landscape of the city is created by exploring their bodies. Gubo realizes that what guarantees a person is the person's body. Gubo feels that his existence is based on his body. While swayed in self-consciousness of his body, Gubo focuses on others' bodies. The Landscape of Ravine Side focuses on bodies as well. The body which Park Taewon considered as supremacy is a means of life and the scene of life.

목차

1. 풍경의 내부와 세태
2. 시각과 고현학
3. 도시 풍경과 시선
4. 도시풍경의 내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기섭(Song, Ki-Seob). (2010).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한국문학논총, 56 , 421-449

MLA

송기섭(Song, Ki-Seob).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한국문학논총, 56.(2010): 421-4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