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s Song of Love - Korean and Japanese Case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이연숙(Lee, Yeon-Su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545~586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고대가요와 향가작품, 일본의 『萬葉集』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사랑의 노래, 그 중에서 특히 삼각관계와 관련된 노래를 중심으로 하여 문학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를 하였다. 한국의 경우 <해가>.<처용가>의 경우를 보면 신적인 존재의 개입에 의해 부부간의 질서가 파괴되고 삼각관계가 일시적으로 형성되지만 애정의 갈등 양상은 보이지 않으며 대중의 비판이나 피해자의 관용 등에 의해 부부간의 질서는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남이 특징임을 논하였다. 일본의 경우는 다른 사람의 아내와 사랑의 노래를 주고받거나, 1명의 여성을 두고 2명 이상의 남성 구혼자가 격렬하게 다투므로 여성은 배우자 선택에 갈등하다가 자살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일 양국의 삼각관계 관련 노래의 이러한 차이는 한일의 여성의 지위, 혼인제도 등과 관련이 있음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d songs of love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Korea and Japan, especially focused on works of triangular love affair.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triangular situation in indicates both a couple"s relationship and a triangular relationship. At this point, may be considered to be a work of a mid-way picture of ancient husband and wife relation and triangular relation of of affection. Second, and of Silla are songs also drawn from a triangular situation. Background tales of the two works show that one other than husband try to conquest the beautiful woman, that a disorder in couple's relation arise from an unexpected person, and that compulsive and violent forces are either accused or failed and the couple's order restore quickly. Third, In Korean cases, a triangular situation brings out disorder in marital relation temporarily by someone like a spirit. But various ways, like power of public's song and generosity of husband, restore marital relation. Triangular love affairs in Korea are not ones brought by similar status of men struggling for love, but ones brought by absolutely strong power like a spirit or a king, for her without even recognizing it. Forth, Songs of three mountains(三山歌) showed that quarrels of two men on one woman is an old practice and a common place in Japan. Fifth, Songs of a triangular love affair in Japan are a triangular situation of equal status of man and woman and picture woman's personal agony and psychological struggle of two man. Therefore, marital order is not recovered in Japanese works and tales. Sixth, These differences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in social background, women's social status, the system of marriage in those days.
목차
1. 서 론
2. 한국 고대의 삼각관계 관련 노래
3. 일본 『萬葉集』의 삼각관계 관련 노래
4. 고대 한일 여성의 지위와 결혼제도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