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이용수 247
- 영문명
-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하강진(Ha, Kang-Jin)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663~728쪽, 전체 6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10,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화 사상가이자 국어학자인 지석영이 편찬한 『자전석요』는 애국계몽기를 대표하는 한자자전 중의 하나로, 근대국어의 발전 단계나 근대 자전의 성립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주목받아 왔다. 하지만 그가 자전을 집필한 동기, 자전 간행의 구체적 과정, 자전의 출판 현황과 현존 실태, 판본별로 발생한 자전의 체재 변화, 구성요소별 변화의 내용 등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미비했다. 이러한 핵심 주제는 여태 학계에서 논의된 적이 거의 없었다. 본고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자전석요』 문헌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19세기말 독서계층이 재편성되자 국가의 공식 문체로 국한문혼용체가 등장하였다. 이 무렵 지석영은 국문의 표기법을 제대로 익힐 수 있는 도구서적으로 자전을 저술하였는데, 자전 편찬은 근대 국가를 성취하는 기획물로서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자전석요』는 1892년 전후 시점에 착수하기 시작하여 1904년 겨울에 초고를 완성할 수 있었으며, 이후 1년이상 세심한 보완 과정을 거쳐 1906년 8월 최종 탈고하였다. 곧바로 인쇄를 위해 정서한 등재본을 학부에 제출하여 1907년 12월 검정을 받은 뒤, 드디어 1909년 7월 중국에서 공식 출간하여 국내에 보급하였다.『자전석요』는 41년간 총 21회 발간되었고, 모든 판본은 대체로 동일한 크기를 유지했다. 수록된 표제자의 경우 초판~14판은 ‘16,306자’이고, 15판~1950년판은 ‘16,310자’임을 새로 밝혔다. 7판부터 검자(檢字)를 삽입했고, 15판부터 권말에 삽도(揷圖)를 첨부하여 독특한 체재를 갖추었다.그리고 판본별로 서문, 저자 사진, 범례, 목록, 발문, 판권지에서 문헌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변화 양상은 시대적 추이, 독자들의 요구, 출판 환경 등을 반영한 결과인데, 각각의 특징적 내용은 유포되고 있는 판본의 종류를 구분할 때 중요한 단서가 된다. 현존하는 『자전석요』는 간행 연혁이나 유통 실적에 비해 수량이 의외로 적고, 이마저도 대부분 서지 상태가 완전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실태 현황을 처음으로 일일이 조사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였다.본고에서 밝힌 새로운 주제나 기존의 관점을 수정한 내용들은 경우에 따라 보완할 여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앞으로 『자전석요』의 내용 고찰이나 자전 편찬의 역사를 기술할 때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author examined uninvestigated matters in precedent study as a subject in JaJeonSeokYo made by Ji Seok-Young such as written motivation, concrete process of dictionary publication, publishing and present status, format changes generating from editions, componentwise changes, etc. The type of use Chinese characters with Korean appeared as an official format style when reading layers were reorganized in the late of 19th century. Ji made a dictionary that enable people to learn a Korean alphabet properly; this compilation has a great meaning as a monument of modern nation achievement. It is presumed that starting time to set about JaJeonSeokYo was around 1892, a draft was made in 1904 and completion of a manuscript in September 1906. Through the neat writing and official approval in December 1907 it was brought out officially in July 1909. JaJeonSeokYo had been published 21 times for 41 years and its volume was almost same. The author finds that the first editions
through 14th edition contain 16,306 entries and 16,310 entries in 15th ~ 1950th edition. Tested-word(檢字) and JeonJa(篆字) was inserted from 7th edition and it had unique features by adding figures from 15th edition. Bibliographical changes occurred in preface, writer’s photo, introductory remarks, contents, epilogue, and colophon. Concrete changes is based on the result of shift of times, reader’s voice, publication environment, this is crucial clue to classify the kind of editions. The number of JajeonSeokYo edition is few surprisingly compared to its publishing achievement and to make matter worse copyright’s condition is not complete. In this article we handle the topic as an actual object and this work will be a great help to study further and explain a bibliography for JaJeonSeokYo.
목차
Ⅰ. 서 론
Ⅱ. 『자전석요』 집필 동기와 편찬 과정
Ⅲ. 『자전석요』 출판 실태와 체재의 변화
Ⅳ. 결 론
키워드
근대자전
『자전석요』
『국한문신옥편』
국한문혼용체
어음
음의
국문 표준화
근대기획
검자
삽도
회동서관
판본
체재
표제자
출판현황
현존 실태
문헌변화
판권지
Modern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explained in Korean
Ji Seok-Young
JaJeonSeokYo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in it
pronunciation and meaning
edition
publishing status
entry
bibliographical changes
copyright
語音
音義
檢字
揷圖
近代字典
池錫永
字典釋要
國漢文混用體
標題字
版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