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sinsahaengrok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in Modernizing Period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정훈식(Jung, Hun-Si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129~1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글은 수신사행록을 통신사행록과 비교하여 그 변화된 지점 및 일본지식의 생성구조와 과정을 다각적으로 살피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수신사행은 통신사행에서부터 지속되어온 의례논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에도막부의 식자층에서 제기된 의례개혁안이 양국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논쟁이 되었으며 이것이 통신사행의 종결과 수신사행의 시작에 영향을 끼쳤다. 이 의례개혁논쟁에서 보면 수신사행은 통신사행의 연장선상에 있다. 수신사행은 비록 통신사행의 기본 방침인 交隣을 유지하였지만 변화된 상황과 조건에 의하여 그 사행의 양상은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다. 첫째 대마도의 가교역할이 폐지되었다. 이는 일본에 의해 이루어진 조치로서, 에도막부시절 조선과의 교류를 국가대 국가 간의 관계가 아니라 조선과 대마도 사이의 사적인 관계로 폄하하는 메이지 정권의 관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는 곧 통신사행을 부정한 것이다. 둘째, 여정 및 견문방식이 변화되었다. 근대적 교통수단이 등장하면서 노정이 변화되고 사행 일정이 축소되며, 여행을 통한 견문방식이 변화되었다. 셋째로 문사교류가 축소되거나 사라졌다. 이는 통신사행에서의 문화 시혜적 위치가 근대문명의 수용적 입장으로 뒤바뀌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변화이다.이 같은 변화와 아울러 수신사행을 통한 지식의 생성과정 또한 바뀌었다. 수신사행록을 통해본 일본지식의 생성과 구성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수신사행록의 지식추구의 목적은 조선개혁을 위한 것이었다. 이는 통신사행록에서 드러난바 지식추구의 최우선 목적인 備倭가 수신사행에서는 후순위로 밀려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목적에서 일본지식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된 것이 바로 시찰과 유학이다. 수신사행의 영역별 분화과정에서 시행된 이른바 조사시찰단과 유학은 보다 압축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수용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이었다. 그리고 이 같은 지식추구의 목적과 구성방법의 논리적 기반이 되는 것은 바로 동도 서기론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letter is focusing on The reconstitution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in Susinsahaengrok on Modernizing Period of Korea. Susinsahaeng is closely connected to arguments over ritual in Tongsinsahaeng. Susinsahaeng has been changed as follows. First, Tsushima's role in bridging between Chosen and Edo Bakuhu was
abolished in period of Meiji. Secondly, literary exchange which had been brisked in Tongsinsahaeng was reduced and dissipated. And finally, An itinerary and experience of this journey was changed. Because they traveled by a new transportation, Hwaryunseon(as teamer) and train. The new generation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in
Susinsahaengrok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is to Susin(修信) and reformation of choseon. The Japanese knowledge through this kind of purpose is mainly structured by making a tour inspection and studying abroa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knowledge about Japan is based on a certain specific recognition, which are so called Dondoseogi(東道西器).
목차
1. 머리말
2. 의례개혁논쟁에서 본 통신사행과 수신사행
3. 수신사행에 나타난 제도와 형식상의 변화
4. 수신사행록을 통해본 일본인식과 지식의 구성 양상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