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이용수 325
- 영문명
- A study on nursery rhymes of Busan and Kyungnam reg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centering around works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박경수(Park, Kyung-Su)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157~201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920년 창간 때부터 1930년까지 발행된 조선일보에 발표된 동시(동요 포함) 작품들을 대상으로 부산경남지역 동시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집중 논의한 것이다. 첫째, 조선일보에서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로 처음 발표된 작품은 황
문경(부산)이 발표한 <겨울 아침>(1924. 1. 1)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매일신보의 현상문예 공모에서 동요 부문에 1등 당선한 황문환의 동시와 동일 작품이었다. 이후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가 본격 발표되기 시작한 시기는 1927년이다. 진주고보 출신인 정태이와 소용수가 앞장서서 동시를 발표했다. 둘째, 1928년 이후부터 통영의 이구월, 진주의 정상규, 하동 출신의 김병호, 합천의 정기주, 동래의 조순규, 함안의 양우정 등이 동시를 발표했다. 1929년 이후부터는 논산 출신이지만 진주에서 교직에 있었던 엄흥섭, 언양 출신인 신고송, 진주의 손길상, 언양의 오영수, 하동의 남대우가 쓴 동시가 조선일보에 오르기 시작했다. 이중 이구월, 정상규, 김병호,양우정, 신고송, 손길상, 남대우의 동시 작품들이 일제 강점기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반영하거나 세태를 풍자하는 작품들이었다. 셋째, 1928년 7월 진주소년동맹이 결성된 이후, 진주를 중심으로 무산 소년문예운동이 본격화되었다. 특히 1929년 이후 진주새힘사, 진주새틀단, 진주동무회 등이 1929년 이후 조직되어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정상규는 손길상, 이재표, 차우영수 등은 ‘진주새힘사’를 조직하고 조선일보를 중요 매체로 삼아 무산소년문예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다. ‘진주새틀단’에서는 안송, ‘진주동무회’에서는 정원규, 최재학, 이순기, 권주희, 천이청등 당시 진주제일공보 학생들이 중요 구성원이 되어 동시 작품들을 투고하여 발표했다.넷째, 1930년에는 마산의 이원수, 김해 출신의 김대봉, 부산 연고의 파리계애거, 울산의 김인원 등이 조선일보에 동시 작품을 발표했다. 이들의 동시 작품들도 현실 반영적인 작품들로 당시의 주류적 경향에 편승하는 작품들이 많았다.다섯째, 1920년부터 1930년까지 조선일보에 발표된 부산경남지역 관련 동시 작품은 모두 47명에 163편이었다. 이들 작품을 동시 발표자의 당시 지역 연고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서부경남 관련 동시가 전체의 61.35%로 가장 많고, 동부경남 관련 동시가 다음으로 26.38%, 중부경남의 12.27%로 나타났다. 이는 당시 서부경남 출신 동시 발표자의 상당수가 사회주의에 영향을 받거나 직접 사회주의 활동에 가담하여 활동하면 서 동아일보보다 항일․비판적 논조가 강했던 조선일보에 작품을 집중발표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for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rsery rhyme in Busan and Kyungnam region through the daily press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r this, I have surveyed and researched nursery rhymes which were published in Chosunilbo(1920-1930). The results so far achieved are in substance as follows. 1. I could find out 163 pieces of nursery rhymes as a work of juvenile literary man from Busan or Kyungnam in Chosun-ilbo(1920~1930). 2. The first nursery rhyme of Busan or Kyungnam in Chosun-ilbo is Mun-kyung Whang(from Busan)'s which is published at Jan. 1,1924. But this one is same work of Mun-whan Whang which is announced in Mail-shinbo at the same time. 3. We can check that many writers of Busan and Kyungnam published their nursery rhymes in Chosun-ilbo, such as Tae-ri Jung(from Jinju), Eul-yong Lee(from Tongyeong), Sang-kyu Jung(from Jinju), Beong-ho Kim(from Hadong), Woo-jung Yang(from Haman), Ki-ju Jung(from Hapcheon) after 1928, Hung-seop Eum(in Jinju), Ko-song Shin(from Eunyang), Young-su Oh(from Eunyang), Dae-woo Nam(from Hadong) after 1929, Dae-bong Kim(from Kinhae), Won-su Lee(in Masan), and the others after 1930. Especially there were many poets from Jinju and Hadong such as the above. 4. Among 163 pieces of nursery rhymes, there were the greatest numbers of rhymes in the west area of Busan and Kyungnam. And we could know that there were those of the east area and the central area of Busan and Kyungnam in the order of numbers.
목차
Ⅰ. 서 론
Ⅱ. 민족 언론지로의 변화와 진보적 의식의 아동문학 진작
Ⅲ. 서부경남 문학청년의 동시 집중과 사회의식의 구현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