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이용수 14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Experiences in Kim Hak-cheol’s Novel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최병우(Choi, Byeong-Woo)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56집, 365~3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김학철이 항일투쟁의 체험을 다룬 작품들을 전기와 소설이라는 장르 명을 구분하여 사용한 근거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에서 쓰여졌다. 논문에서 규명한 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소설에서는 사건을 서술하거나 묘사하여 독자의 상상을 가능하게 하는 데 비해, 전기에서는 과거 서사 회상 속에 서술 내용의 의미를 부여하여 독자의 상상력을 차단하고 있다. 둘째, 소설에서는 초점화자나 서술자의 시각에 포착되는 사실들만을 서술하는데 비해, 전기에서는 서술시에 발생한 사실이 아닌 미래의 일들조차 자유롭게 서술하고 있다. 셋째, 소설에서는 삼인칭 시점이 전기에서는 일인칭 시점이 사용된다. 이는 체험이 상상력을 제한하는 상황에서 소설을 일인칭으로 서술하면 전기로 나아가게 된다는 점을 인식한 결과이다. 넷째, 전기를 쓸 때와 달리 소설을 창작할 때는 무엇보다도 형상화를 실천하고 있다. 이는 소설이란 구체적 사건에 대한 서술과 묘사에서 비롯되어야 한다는 소설의 기본 원리에 충실한 결과이다. 다섯째, 전기와는 달리 소설에서는 사건 전개에 있어 허구적인 인물을 창조하여 그들을 통해 극적인 사건을 보여주어 소설적인 박진감을 획득하고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방법은 체험의 재구성이 가질 수밖에 없는 소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김학철이 선택한 소설적 장치로 이해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ground that Kim Hak-cheol distinguished the genre of his works dealing with experiences in anti-Japanese movements between bibliographies and no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novels explain or describe an event so that the readers can imagine it, bibliographies block imagination by giving the meaning of contents described in the narration of the past. Second, while novels describe facts captured by the view of the focalizer or the narrator, bibliographies freely describe not only facts occurring at the time of narration but also future events. Third, while novels use a third-person viewpoint, bibliographies use a first-person viewpoint. This is a consequence of recognizing the fact that, in the situation that experiences restrict imagination, if a novel uses a first-person viewpoint it may go as far as being a bibliography. Fourth, different from bibliography writing, novel writing practices configuration. This is a consequence that the writer was faithful to the basic principle of novels that a novel should come from the narration and description of specific events. Fifth, different from bibliographies, novels attain fictional realism by creating fictional figures in the development of story and presenting dramatic episodes through the figures. These five methods above are understood as fictional devices that Kim Hak-cheol adopted in order to overcome the fictional limitation in the reconstruction of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체험의 강렬성과 장르 의식의 혼란
Ⅲ. 전기와 소설의 장르 인식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 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
- 退溪 「林居十五詠」의 詩世界와 意境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 가능성 연구
- 고대 한일 사랑의 노래 비교 연구
-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도시체험과 멜랑콜리적 주체
- 이광수의 '무정'과 장한수의 '제소인연' 비교연구
- 재일한인 소설에서의 혼인,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 일제 강점기 일간지 게재 부산.경남지역 동시 연구
-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丹齋 申采浩 詩篇의 진술방식과 지식인의 자의식에 대한 고찰
- 윤동주 시의 창작원리 연구
-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최인훈 '춘향뎐'의 패러디 담론과 역사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