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람직한 대법관 인선기준
이용수 173
- 영문명
- Desirabl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upreme Court Justice: Focusing on the Analyses and the Evaluation of the Justice Young-Ran Kim's Major Decisions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 저자명
- 林智奉(Jibong Lim)
- 간행물 정보
-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6卷 第3號, 445~4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는 8월 24일에 김영란 대법관이 6년 임기만료로 퇴임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법원은 후임자 인선작업에 착수했다. 김영란 대법관이 대법관에 선임되던 지난 2004년에, 성향이나 성별 등 여러 면에서 다양한 대법원의 인적 구성을 갈구했던 시민사회의 요구가 받아들여져서, 기수와 서열 위주의 종래 대법관 선임관행에서 벗어나 일종의 파격인사가 이루어졌었다. 대법원은 최종적인 법해석과 법적용의 막강한 권한을 가진 국가기관이다. 또한 대법원은 최종심으로서 국민의 인권을 보장하는 최후의 보루이자, 구체적인 사건을 통해 정책적 판단을 내림으로써 우리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막중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대법원을 구성하는 대법관의 임명이 얼마나 중요한 지는 새삼 강조할 필요조차 없을 정도다. 바로 여기에 대법관 인선기준의 중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대법원의 인적 구성은 다양화될 필요가 있다. 12명의 대법관 임명 제청권을 가진 대법원장이 다종다양한 배경을 지닌 인사들을 대통령에게 대법관 후보로 제청함으로써, 국민 각계각층의 다양한 이익과 의사를 대법원 판결에 두루 담아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과거 시민사회가 제시했던 바람직한 대법관 인선기준을 되짚어보고, 이런 기준에 비추어 봤을 때 김영란 대법관의 대법관으로서의 업무수행은 어떤 평가를 받을 수 있는지를 분석해본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김영란 대법관의 후임 대법관을 비롯한 장래 대법관들의 바람직한 인선기준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를 규명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Justice Young-Ran Kim is supposed to retire on August 24th this year completing her 6 year tenure. The Supreme Court has already started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new Justice. In the year of 2004 when Justice Kim was appointed as a Justice, it was evaluated as an unprecedented appointment which admitted a long-time demand from Korean civil society having longed for a diverse bench in Korean Supreme Court in terms of the gender and political position. Meanwhile, it was an effort by the Korean Judiciary to break itself of a bad habit to select a Justice only based on the ranking and the bar-passing year as well. The Supreme Court has great powers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laws into real cases. In addition, it is the final safeguard to protect people's human rig rs and the critical institution to decide on the future course of the society through judicial decisions on the controversial issues of the society. The importance of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upreme Court Justices exists here. In particular, Korean Supreme Court mostly needs to be diversified in the composition of the bench in order to reflect the interests of all sorts and conditions of people in the decision. This paper review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Supreme Court Justices at first which was suggested by the civil society in Korea. Then, it will analyze and evaluate major cases by Justice Young-Ran Kim based on the criteria. Through these,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the desirable selection criteria for the future Justices in Korea including Justice Kim's successor.
목차
Ⅰ. 서 론
Ⅱ. 과거 시민사회에 의해 주장되었던 바람직한 대법관 인선기준
Ⅲ. 이 기준에서 살펴본 김영란 대법관의 주요판결들에 대한 평가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 정부의 초.중등교육정책에 대한 헌법적 관점에서의 검토
- 사회통합과 헌법
-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 정당해산제도의 딜레마
- 憲法上夜間屋外集會禁止에 대한 違憲審査
- 이탈리아의 헌법재판제도
- 직원의 종교적 요구에 따른 사용자의 업무상 배려의무
- 헌법상 조세평등주의에 대한 연구
- 영국의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다수제 민주주의
- 인터넷 선거운동의 자유화에 관한 법적 연구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실현을 위한 공적 부양의 개선방안
- 근대 이후의 자유주의의 변용과 경제공법질서의 전개과정
- 상속세 및 증여세법의 헌법상의 문제에 관한 연구
- 2009년 개정 북한헌법에 대한 분석과 평가
-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언론관계법의 발전과 평가
- 노조전임자 임금지급 금지와 근로시간면제제도의 헌법적합성
- 바람직한 대법관 인선기준
- 영국에서의 의회입법에 대한 사법적 통제
- 프랑스 제24차 헌법개정의 특징과 주요 내용
- 리스본조약상 법적 행위와 그 제정 절차의 개혁
- 문화적 다양성의 합헌성
- 낳지 않을 자유와 자기결정
- 헌법상 시장경제와 경제민주화의 상호관계
- 정치의 사법화의 세 가지 유형
- A Brief Review of the New Criminal Jury Trial System in Korea
- 라틴아메리카의 헌법재판제도
- 한정합헌결정은 합헌결정인가
- 미국의 아동대상 성범죄 관련 법률에 대한 입법론적 검토
- 레퍼렌덤으로서의 헌법 제72조 국민투표
- 헌법상 장애인과 아동의 기본권보장과 그 개정방안
- 議院內閣制의 受容必要性과 條件에 관한 考察
- 지속가능한 국토이용 평가
- 헌법이란 행복한 세 발 자전거
- 인터넷 실명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