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81
- 영문명
-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LGBT Youth : A Qualitative Stud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유성아 김희정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447~48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청소년 성소수자와 어떻게 상담하고 있는지,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은 무엇인지, 성소수자 상담에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청소년 성소수자와 상담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 6명이었으며, 반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한 일대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근거이론의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경험은 6개의 범주, 20개의 하위범주와 40개의 개념으로 나타났다. 범주명은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된 상담’, ‘내담자에게 중요한 것을 상담목표로 삼음’, ‘상담 안팎으로 어려움을 경험함’, ‘자기믿음과 도움받기로 어려움 대처’, ‘ 받아들임과 받아들여짐을 이뤄냄’, ‘성소수자 상담역량 개발의 필요성’이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가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을 위한 전문상담교사 교육과 훈련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LGBT youth. In particular, we tried to explore how they work with LGBT youth, what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they have, and what elements are necessary for school counselors’ LGBT counseling. Method: Participants were six school counselors who had counseling experience with LGBT yout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and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from Grounded Theory. Results: School counselors’ counseling experience with LGBT youth were categorized into 6 themes, 20 sub-themes, and 40 concepts. Six categories included ‘Counseling started with no preparation’, ‘Aiming for what’s important to the clients’, ‘Difficulties in and out of counseling’, ‘Coping through self-belief and getting help’, ‘Accepting and being accepted’, and ‘Necessity to develop LGBT counseling competence’.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or school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