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이용수 84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 and Singapore : Focusing on Teacher Data from TALIS 2018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윤혜원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219~2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OECD의 TALIS 2018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양국에서 하향식으로 추진되는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의 운영 실태를 비교하려는 목적으로 t-test와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양국 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빈도를 살펴보고 그것이 교사학습공동체의 두 가지 목표인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 및 학생의 학습 증진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싱가포르 모두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빈도가 2013년에 비해 2018년에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싱가포르 교사들이 한국 교사들에 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보다 빈번하게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국 모두 한국과 싱가포르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빈도는 교사효능감와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나, 학급 학업성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심지어 한국의 경우 학급 학업성취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향식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판은 자제하되, 교사학습공동체와 학생 학업성취도의 긍정적 연관성을 높이는 방안을 반드시 모색해나가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 and Singapore using the TALIS 2018 data implemented by OECD. Metho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op-dow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ies in both countries, a t-test analysis method and a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method were conducted. Specifically, the frequency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both countries was exam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the two goal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compared and examined. Results: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both Korea and Singapore, the frequency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8 compared to 2013, and it was found that Singapo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more frequently than Korea teachers. Second, in both countries, the frequency of Korean and Singaporean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 but the frequency of Singaporean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lass academic achievement, and even in Korea,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lass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refrain from unconditional criticism of the top-dow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but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