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Non-Pharmacological Sleep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Future Direction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전유지(Yu-Ji Jeon) 이소현(Sohyun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123~16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중 약 50-80%가 수면 문제를 경험하며, 이는 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기능과 학습 능력, 가족의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국외에서 실시된 25편의 수면 중재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중재의 현황과 특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2017년 이후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수면 중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은 집단 설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6-11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가 많았으며, 중재 효과는 수면 문제 개선, 부모의 중재 기술 향상, 가족의 삶의 질 증진에 초점을 맞췄다. 중재 내용을 분석한 결과, 행동적 중재는 긍정적 취침 루틴과 환경 조정, 신체활동 기반 중재는 수중 운동이 주로 활용되었다. 중재의 실행은 주로 가정과 학교에서 이루어졌으며, 부모와 연구진이 주요 실행자로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타당도와 중재 충실도는 일부 연구에서 평가되었으나 제한적이었으며, 유지 효과를 추적한 연구는 56%에 달한 반면 일반화를 평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pproximately 50-80%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experience sleep problems, which significantly impact their emotional and cognitive functions, learning abiliti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ir familie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25 international sleep intervention studies to highlight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SD. The findings indicate that sleep intervention research targeting ASD childre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2017, predominantly employing group designs. Many studies focused on children aged 6-11 and were small-scale, with interventions primarily aimed at improving sleep issues, enhancing parental intervention skills, and boosting family quality of life.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content revealed that behavioral interventions often involved positive bedtime routines and environmental adjustments, while physical activity-based interventions frequently utilized aquatic exercises. Interventions were mainly implemented at home and school, with parents and researchers as the primary executors. Finally, while social validity and intervention fidelity were assessed in some studies, they were limited, and although 56% of the studies tracked maintenance effects, studies evaluating generalization were lacking.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4호 목차
- 학습장애 진단에서 양성 예측도와 출현율의 중요성 탐색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지역사회와의 생태학적 협력체계 영향 변인 탐색
-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 장애대학생의 대학몰입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 중등 특수학교 교사가 경험한 학생의 물리적 폭력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이해에 관한 탐색 : 중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수업 적용 사례
- 특수교사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