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ction Study on Career Vocational Education Applying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n the Special Class of a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해솔(Haesol Lee) 서효정(Hyojeong Seo)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95~1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하기 어려운 특수교육 현실을 개선하고자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진로와 직업 교과 시간에 학생 참여형 수업을 실행하고 그 과정에서 얻게 된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계획-실행-반성 및 평가의 순환적 절차를 반복하여 개선하는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교사로서의 연구자, 연구 참여 학생 5명, 전문가 5명이다. 총 10회기의 수업 실행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자료들은 실용적 절충주의 분석 절차에 근거하여 귀납적 및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4개의 대주제와 10개의 소주제로 나타났으며, ‘시작: 삐거덕거리는 우리’, ‘변화: 한 걸음 한 걸음 천천히 맞춰지는 속도’, ‘성장: 함께 걷는 우리’, ‘숙제: 선물처럼 남겨진 과제’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이 주는 의미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and the reality of special education, where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s difficult to apply. This study implemented career vocational education that applies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n the middle school special clas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emerged from the process. The method of this study utilized action study following a cyclical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ation, reflection, and evaluation. The study conducted a total of 10 cycles of career vocational education applying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involving fiv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were continuously analyzed by the researcher using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picted a process for implementing career vocational education applying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n the middle school special class.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jor themes and 10 sub-themes. A total of four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Start: Our bumpy steps,' 'Change: A slow pace, step by step,' 'Growth: We walk together,' and 'Challenge: Homework left as a gif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tudent participation-based instruction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솔(Haesol Lee),서효정(Hyojeong Seo). (2025).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9 (4), 95-121

MLA

이해솔(Haesol Lee),서효정(Hyojeong Seo).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9.4(2025): 95-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