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수업 적용 사례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to Improve Computational Skills of Students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정(Soo Jung Kim) 이은주(Eun Ju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161~19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 관찰, 학습자 진단, 맞춤형 교육적 처치, 학습자의 학습 활동 참여’ 4단계 맞춤형 교육의 실현 과정에 따른 학습자 맞춤형 수업이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사칙연산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생 특성에 따른 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2-6학년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4개월간 일대일 맞춤형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맞춤형 수업은 대상자들의 사칙연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p < .01),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수학 학령단계(g = 1.04)와 통합단계(g = 1.01), 기초학습능력검사(g = .88) 모두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저학년(2-4학년)에서 더 큰 향상을 보였고, 읽기 문제를 동반한 집단이 수학에만 어려움이 있는 집단보다 더 큰 향상을 보였다. 초기 수학 수준별 분석에서도 집단 별 중재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based on a four-stage process—‘learner observation, diagnosis, individualization of the intervetion and learner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on the arithmet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One-on-one personalized lessons were provided to 35 students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in Grades 2-6 for four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ized instru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ing participants’ arithmetic performance (p < .001), with large effect sizes in both grade-level (g = 1.04) and integrated-level (g = 1.01) assessments, as well as an arithmetic subset of the Academic Competence Test (g = .88). Grade-level analysis revealed greater improvements in the lower grades (2-4), and the group with concurrent reading difficulties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e group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alone. Furthermore, analysis by initial mathematics level also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vention effects between groups.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has on students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and suggests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considering learner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4호 목차
- 학습장애 진단에서 양성 예측도와 출현율의 중요성 탐색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지역사회와의 생태학적 협력체계 영향 변인 탐색
-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 장애대학생의 대학몰입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 중등 특수학교 교사가 경험한 학생의 물리적 폭력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이해에 관한 탐색 : 중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수업 적용 사례
- 특수교사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선택 과목 성취기준 분석: 차별성과 중복성을 중심으로
- 교양영어의 과정 중심 글쓰기에서 교수자·동료·자기 피드백 유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태도 연구
- 영어 문법과 어휘가 영어 읽기 및 쓰기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 조사: 중·고등학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