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이용수 0

영문명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f ITP Support Team to operate ITP based on PCP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pecial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하은(Ha-eun Lee) 임경원(Kyoung-won L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193~22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중학교의 ITP 지원팀과 함께 PCP에 입각한 ITP를 협력적으로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 중학교 3학년 학생과 보호자 각각 5명, 2학년 교과 수업 담당 교사 3명, 특수학교 각 업무의 부장교사 4명이다. 연구 방법은 교사, 학생, 보호자가 함께 참여하는 총 5번의 ITP 협의회를 중심으로 반성적, 순환적 과정을 거치는 협력적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보호자의 요구를 반영한 개별화된 전환목표를 수립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전환평가 도구의 활용과 보호자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둘째, 장애 학생이 ITP 목표 수립부터 실천하고 평가하는 모든 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장애 학생은 자기 주도적 능력을 기르고 목표 달성에 대한 성과기대가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ITP 회의는 보호자와 교사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생 중심의 ITP를 활성화하기 위한 학교 차원의 행정적·구조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의 PCP에 입각한 ITP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ITP based on PCP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pecial school, 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special teacher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eachers as researchers, 5 students and their guardians, 3 teachers in charge of the second-grade curriculum and 4 head teachers responsible for various duties at the special school for the program. As a research method,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method that goes through a reflective and cyclical process was applied centering on a total of 5 ITP councils in which teachers, students, and guardians participated togeth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use a systematic transition evaluation tool and cooperate with guardians in order to establish individualized transition goals that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and guardians, Seco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that they developed self-directed abilities and increased performance expectations for achieving the goal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all processes from establishing and evaluating ITP goals. Third, through the ITP meeting, it had a positive effect on guardians and teach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need to bolster administrative and structural support at the school level to revitalize student-centered ITP.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하은(Ha-eun Lee),임경원(Kyoung-won Lim). (2025).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특수교육학연구, 59 (4), 193-223

MLA

이하은(Ha-eun Lee),임경원(Kyoung-won Lim).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특수교육학연구, 59.4(2025): 193-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