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Research: Perspectives of Pre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욱(Jungwook Park) 조수현(Suhyeon Jo) 강은영(Eun 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381~41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IEP를 작성하는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인식과 경험, 지원 요구를 탐색하고 성공적인 IEP 수립 및 운영의 지원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 및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IEP 질적연구 결과는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IEP에 관련된 16편의 질적 연구물을 대상으로 Noblit과 Hare(1988)가 제안한 7단계 접근법을 활용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식과 경험 및 지원 요구라는 3개의 대범주를 바탕으로 13개의 하위범주와 이에 대한 64개의 주요내용을 구성하였으며, 각 하위범주별 핵심적인 내용을 실제적 인용을 통해 제시하였다. 끝으로 IEP를 수립하고 실행하는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 및 지원 요구를 바탕으로 향후 IEP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implemen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IEP). An IEP is a legally required document in many countries that outlines specific educational goals and the services a child with disabilities will receive. It is designed to ensure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ive a tailored education that meets their unique needs. This study also aims to derive directions for supporting the successful operation of IEP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 was formulated as, “What trends do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on IEPs from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veal?”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even-step approach proposed by Noblit and Hare (1988), based on 16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IEPs.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ategories—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within which 13 subcategories and 64 key themes were constructed. The core content of each subcategory was presented with direct quotations from the studies. Fin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implementing IEPs, thise study presents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for the successful future operation of IE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4호 목차
- 학습장애 진단에서 양성 예측도와 출현율의 중요성 탐색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지역사회와의 생태학적 협력체계 영향 변인 탐색
-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 장애대학생의 대학몰입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 중등 특수학교 교사가 경험한 학생의 물리적 폭력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이해에 관한 탐색 : 중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수업 적용 사례
- 특수교사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