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Grade-wide Multi-ti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Resilience, and Transition Goal-attainment of Grade 6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애진(Aejin Lee) 박지연(Jiyeon Par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257~28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전체 학생 총 138명을 대상으로 보편적 지원이 실시되었고, 보편적 지원 이후에도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추가 지원이 실시되었으며, 추가 지원 이후에도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한 학생 7명(장애 5, 비장애 2)을 대상으로 개별 지원이 실시되었다. 보편적 지원은 진로와 연계된 학년 교육활동과 16회기의 진로수업, 추가 지원은 학생의 요구를 고려한 맞춤형 소그룹활동과 10회기의 개별상담, 개별 지원은 전환목표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5회기의 강화된 개별상담이 제공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학년 전체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6학년 전체 학생의 진로탄력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추가 지원 대상학생과 개별 지원 대상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탄력성 점수만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두 그룹 모두 사전점수는 전체 학생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었으나, 사후검사는 전체 학생의 평균을 상회할 정도로 크게 향상되었다. 셋째, 개별 지원에 참여한 학생의 전환목표달성도가 기대 이상의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rade-wide multi-tier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resilience, and transition goal attainment among Grade 6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A total of 138 Grade 6 students, including 6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A Elementary School in Suwon participated in the universal support. For 13 students who exhibited continued difficulties after the universal support, targeted-group support was provided. Seven students(5 with disabilities and 2 without) who required more intensive support received individualized support. The universal support included grade-wide educational activities linked to career education and 16 sessions on career learning. The targeted-group support consisted of 10 weekly sessions of tailored small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counseling based on the students’ needs. For individualized support, enhanced counseling designed to support transition goal attainment was provided for an additional five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cores of all Grade 6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career resilience scores of all Grade 6 students also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hen analyzing the scores of students who received targeted-group or individualized support, bo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resilience were initially much lower than the overall average. However, after the program’s implementation, their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surpassing the overall average of all students. Third, the transition goal attainmen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dividualized support improved to a level that exceeded expectations. Lastly, the discuss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4호 목차
- 학습장애 진단에서 양성 예측도와 출현율의 중요성 탐색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지역사회와의 생태학적 협력체계 영향 변인 탐색
-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 장애대학생의 대학몰입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 중등 특수학교 교사가 경험한 학생의 물리적 폭력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연구
-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이해에 관한 탐색 : 중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수업 적용 사례
- 특수교사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