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in Teaching Students With 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박진석(Jinseok Park) 김정연(Jeongyoun Kim) 박은혜(Eunhye Park)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355~38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뇌성(피질)시각장애(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 이하 CVI)는 안구와 시신경의 이상이 아닌, 뇌의 시각 처리 경로의 손상이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시각장애이다.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에서 최근 주목하기 시작한 CVI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현장 특수교사의 교육 지원 경험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CVI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현장 특수교사 11명을 모집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전사 자료를 질적 분석하여 4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특수교사는 기존의 안구 시각장애와는 다른 CVI 학생의 독특한 시각적 특성을 경험하였다. 둘째, CVI 학생에 대한 정보 전달 및 진단·평가 체계 부족을 인식하였다. 셋째, 적절한 특수교육 지원을 위해 개인 차원에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으나,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어려웠다. 넷째, CVI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전문적인 교수학습 지도 역량 및 특수교육 지원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CVI 전문 인력풀의 구성과 지원, 다학제적 진단·평가 체계 구축, 교수학습 지도 전략 및 대체학습자료 활용을 위한 현장 친화적 가이드라인 개발, 기초조사 결과에 따른 종합적인 특수교육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Cerebral/Cortical Visual Impairment (CVI) is a visual impairment caused by damage or dysfunction in the brain’s visual processing pathways.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with CVI students. The researchers recruited 11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llected data through multiple virtual focus group interview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dentifying four main themes and 19 sub-themes: (1) teachers encountered unique visual characteristics in CVI students; (2) teachers experienced challenges due to a lack of information, a systematic diagnosis, and evaluation process specialized in CVI; (3) teachers employed various instructional strategies at individual level, but faced difficulties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ir efforts; and (4) teachers highly recognized the need of awareness of CVI, professional teaching expertise, and individualized special education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proposed implications, such as establishing of CVI specialist group, implementing multidisciplinary diagnosis and evaluation approaches, providing guidelines for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dapted learning materials, and developing comprehensive support plans grounded in foundational research.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석(Jinseok Park),김정연(Jeongyoun Kim),박은혜(Eunhye Park). (2025).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9 (4), 355-380

MLA

박진석(Jinseok Park),김정연(Jeongyoun Kim),박은혜(Eunhye Park).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59.4(2025): 355-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