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이용수 69
- 영문명
- A Study on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오인수 손지향 이보람 성태제 송해덕 김랑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81~1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arl Jung의 성격유형론과 성격 5요인 모델을 통합한 Golden 검사(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를 15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Golden 성격유형검사를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하였고, 전국의 20대부터 60대까지 총 1,450명의 성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Golden 검사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요인구조를 확인한 결과 5요인 구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부척도(Facet Scales)의 표준화 요인부하량이 대부분 적합하게 나타나 대응되는 포괄척도(Global Scales)의 하부요인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MBTI성격유형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적절한 신뢰도 계수를 얻음으로써 Golden 검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격검사에서 가장 신뢰를 받고 있는 성격 5요인(Big 5 Model)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유형론이 가지는 유용성을 지닌 검사가 한국에서도 타당화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Jung의 성격유형론에 기반을 둔 기존의 성격유형검사에는 포함되지 않은 긴장(Tense)과 차분(calm) 척도와 36개의 세부척도를 활용한다면 실제 상담과 교육 현장에서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as a for adolescents and adults over the age of 15 that incorporates Carl Jung's theory of personality types as well as the Big 5 model. Method: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was translated to fit the Korean situation, and a total of 1,450 adults, ranging in age from 20 to 60,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e checked whether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had a valid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ssessed. Result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Golden Personality Type Test was confirmed, and the 5-factor structure was presented as most appropriate. Next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most of the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of the facet scales were found to be adequate, which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for the sub-factors of the corresponding global scales.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study verified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MBTI personality type test. By obtaining a suitable reliability coefficient, this study also proved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to be a reliable test. Conclusion: There is significance to this study in that a test with the utility of typology has also been validated in Korea while maintaining the most trusted Big 5 Model. In particular, if tense/calm scales, and 36 facet scale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personality type test based on Jung's personality type theory, are used,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can be a useful psychological instrument in the counseling and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