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이용수 282
- 영문명
- Entangled Becom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Agency Discourse of New-Materialism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지현 최고은 정혜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141~17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유아교사를 얽힌 되기로 새롭게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신유물론의 관점 중 하나인 Barad의 행위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유아교사의 행위성을 탐색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행위성에 대한 변화를 탐색하고, Barad의 문헌자료를 토대로 신유물론의 행위성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후 유아교육에서 대안적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유아교육 다시 읽기 (Contesting Early Childhood)』 저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교사 되기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 되기는 관계하며 미분화된 차이를 생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고정되거나 개별화된 객체로 존재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얽힘의 관계로부터 드러나며, 변이되고, 변형되며, 또 재창조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 되기는 재현의 작용으로 유아의 배움을 개인이 판단하는 것을 벗어나, 세계의 일부로 참여함으로써 존재들과 함께 공동 구성하는 과정으로 보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 되기는 교육공간에서 드러나는 현상에 대해 끝없는 상호 책임의 상태에 놓임으로써 응답-능력에 열려 있어야 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를 유아교육현장의 다양한 관계로부터 출현하는 것으로 바라보고, 교사 행위성을 얽힌 되기의 과정과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새롭게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s “entangled becoming” through the agency discourse of new-materialism. Method: Focusing on Barad’s agential realism as one of the perspectives of new-materialism, this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ag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we first examined the meaning of agency in new-materialism, based on Barad’s literature. We then discussed how teachers become, through the cases from ‘Contesting Early Childhood’ series, which presents alternative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generating relational and undifferentiated differences, not as a fixed or individualized object that precedes existence, but as a process that emerges, mutates, transforms, and recreates from entanglement relationships. Seco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becoming teachers should be seen as a process of co-constituting with beings by participating as parts of the world, rather than judging by the individual, as an action of representation. Third, becoming teachers has to be open to ‘response-ability’ in a state of endless mutual responsibility for phenomena that emerges in the educational space.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looking at entangled becoming as teachers from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for a new understanding of teacher agency as performing together with the process of entangled becoming.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신유물론과 행위성
Ⅲ. 행위성과 유아교사 되기
Ⅳ.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