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이용수 73
- 영문명
- The Classification of College Adjustment Typ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정지언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249~2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방 사립대학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지방 사립 대학교 휴학생들이 어떠한 대학생활적응 유형을 갖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부산에 위치한 A 사립대학의 휴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조사를 실시하고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집단을 분류하고 집단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그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따라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먼저 연구대상의 47.58%가 부적응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 애착의 전 전 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적응도를 보이는 집단으로 일시적 학업중단인 휴학 이후 영구적 학업중단인 자퇴나 제적으로 전환될 위험이 높은 집단이다. 두 번째 집단은 전체의 23.39%에 해당하는 적응형 집단이다. 이 집단은 대학생활적응의 전 영역에서 부적응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인다. 하지만 적응형 집단이라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학업적 적응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집단은 경계선 집단으로 전체의 29.03%에 해당한다. 이 집단은 부적응 집단에 비해 뚜렷하게 정서적 적응과 신체적 적응 정도는 높지만, 학업적 적응은 부적응 집단과 차이가 없고 정서적 적응과 대학 애착도 중간 이하인 특징을 갖는다. 논의 및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현재 지방 사립대학교 휴학생들은 유형에 상관없이 학업적 적응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지방 사립대학의 신입생 충원이 어려워지면서 입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이 낮아진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방 사립대학은 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지원을 우선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포함한 종합적 지원뿐 아니라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적 지원, 대학에 대한 애착 형성을 위한 비전 제시, 다양한 자기계발 기회 제공 등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adjustment of the absent students from local private universitie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dropout of local private university students. Metho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college adjustment of 124 college students who are on leave from a private university A located in Busan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naturally generated groups by type of college adjustment. Results: As a result, students on leave of absence from local private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college adjustment. First, 47.58% of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maladaptive group’. There were groups that showed below-average levels in all areas of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justment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are a group with a high risk of permanent dropout like academic dismissal and withdrawal after a temporary dropout like absence. The second group was the ‘adaptive group’ that accounts for 23.39% of the total. Thi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e maladjusted group in all areas of college adjustment. However, the adaptive group also showed a relatively low level of academic adjustment. The last group was the ‘borderline group’, accounting for 29.03% of the total. Thi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emotional and physical adjustment than the maladjusted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adjustment from the maladapted group,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attachment are below average. Conclusion: Through study results, local private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academic support fir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 support, present a vision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to prevent dropou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