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이용수 72
- 영문명
- Latent Classes in the Campus Life Satisfac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백상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399~4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방대학 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 유형의 잠재계층을 분류한 후, 잠재계층 분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잠재계층별 진로발달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Ⅱ: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의 4차 자료 데이터인 지방대학 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 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다항로지스틱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의 유형은 ‘고수준 집단’, ‘중수준 집단’, ‘저수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영향요인은 성별, 월평균 가구소득, 장학금 수혜, 교내 아르바이트, 진로 및 취·창업프로그램, 학습자 중심 수업 참여, 개인 학습투자시간이 잠재계층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잠재계층별로 직업자기인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논의하고 정책적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campus life satisfac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to test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ype of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their differential effectiveness for career development and life satisfaction. Method: For this purpose, 402 local university students from KEEP II data collected in the 4th year(2020) were used for analysis. By using a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explored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campus life satisfac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omains of campus life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he high level, medium level and low level group. Among the variables gender, scholarships, monthly average income, working experience in campus, career guidance program, learner-centered class, studying time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nd policies for each type were discussed, as well as limit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