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59
- 영문명
- The Experience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Preschool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 Qualitative Meta-Analysis Focusing on Foucault’s Subjectiv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소희 이연우 Chlaihani Basma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375~3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경험한 장애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Foucault의 윤리적 주체화의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의 윤리적 주체화 방법에 대한 시사점과 이후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개정 누리과정을 경험한 장애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10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가 제안한 단계와 나장함(2008)과 이정숙(2017)의 연구를 참고해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유아교사의 경험을 종합하고 개념화,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아교사들의 윤리적 주체화의 과정은 ‘얽힌 권력관계 구성’과 ‘파르헤지아적 발화’, ‘자기 배려의 실천’이라는 3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얽힌 권력관계 구성’은 ‘비판적 사유하기’와 ‘권력관계 맺기’, ‘파르헤지아적 발화’는 ‘솔직하게 말하기’와 ‘용기 있게 말하기’, ‘자기 배려의 실천’은 ‘자기 인식하기’와 ‘자기 연마하기’로 세분화되었다. 논의 및 결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파르헤지아의 실천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과 교사공동체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Foucault's ethical subjectivation appeared in qualitative research about the experience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preschool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imed at gaining insights into the teachers’ processes of ethical subjectiv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such processes in future revisions of the Nuri Curriculum. Method: A meta-analysis of 10 qualitative studies was conducted to synthesize, conceptualize, and categorize the experiences of the preschool teachers with the Revised Nuri Curriculum, by following the step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and referencing Na’s (2008) and Lee’s (2017) studies. Results: 3 themes and 6 sub-themes were identified in the teachers’ processes of ethical subjectivation: the theme ‘construct of entangled power relations’ and its sub-themes ‘thinking critically' and 'establishing a power relationship’; the theme ‘parrhesian speech’ and its sub-themes ‘speaking frankly' and 'speaking bravely’; and, finally, the theme ‘practice of self-care’ and its sub-themes ‘self awareness’ and ‘self cultiv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nstitutional frameworks guaranteeing the practice of parrhesia and aiming at revitalizing the teacher communit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