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ications for Tea Ceremony Education of the Daseonilmi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s with Ecolog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허인영 서범종 최승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201~2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다선일미 사상에 담긴 ‘화(和)·경(敬)·청(淸)·적(寂)’ 정신은 다도교육의 방향을 일깨워준다. 본 연구는 다도교육에 담긴 핵심 개념들을 생태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관련지어 보았다. 연구방법: 초의선사에게 다선일여(茶禪一如), 다선일체(茶禪一體)란 차와 선은 같다는 뜻으로 차가 곧 선이자 도이며 다도가 선 수행이다. 『동다송』제7송에서 일염실진(一染失眞) 정신은 생태교육의 바탕으로 삼을 만하다. 연구결과: 색심불이로 인간의 마음과 만물의 대상이 둘이 아니고(色心不二), 온전히 하나라는 일심법계(一心法界)의 사상을 기반에 둔 다도는 진향, 진색, 진미(眞香, 眞色, 眞味)를 가지지만 일단 오염되면 그 진성을 잃는 것처럼 사람도 망상으로 본래의 청정심을 잃을 수 있음을 깨닫게 해줌으로써 온난화, 팬데믹, 집중호우, 태풍, 해일, 수몰 같은 사건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생태교육이 요청됨을 알게 해준다. 인류 전체가 쌓아온 문명과 기술이 지구 전체의 절멸로 치달을 수 있다는 심각한 경고가 초의선사의 ‘화(和)·경(敬)·청(淸)·적(寂)’ 정신 속에 들어있는 것이다. 논의 및 결론: 이처럼 다선일미 정신은 인간적 척도를 벗어난 생태주의 정신과 그에 입각한 문화생태학의 교육적 가치를 일깨우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spirit of ‘Hwa(和)·Gyeong(敬)·Cheong(淸)·Jeok(寂)’ contained in the idea of Daseon-ilmi reminds us of the direction of tea ceremony education. Method: This study related the key concepts contained in tea ceremony education to the implications for ecological education. To Seon Master Choeui, Daseon is one, which means that tea and Zen are the same, and tea is both Zen and Dao, and tea ceremony is Zen practice. In the 7th song of 『Dongda Song』, the spirit of one-yeom-siljin (一染失眞) is worthy of being used as the basis for ecological education. The tea ceremony, based on the idea of one mind law realm (一心法界) that the human mind and the object of all things are not two, but completely one, is based on the true fragrance, true color, and true beauty. Results: To understand and solve events such as global warming, pandemics, torrential rains, typhoons, tidal waves, and submergence by making people realize that people can lose their original sense of purity through delusion, just as they have a true taste but lose their true nature once they are polluted. Ecological education is required. Conclusion: A serious warning that the civilization and technology accumulated by the entire human race could lead to the extinction of the entire earth is contained in the spirit of Choui Seonsa’s “Harmony, Gyeong, Cheong, and Jeok.” As such, the spirit of Daseonilmi awakens the spirit of ecology beyond the human scale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cultural ecology based on it.
목차
Ⅰ. 머리말
Ⅱ. 다선일미 사상에 기반한 다도교육
Ⅲ. 현대 다도교육의 정신과 생태교육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