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65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valuation through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손유진 강승지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175~2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핵심 키워드 특징과 키워드 간 구조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교육과정 평가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과정 평가 연구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22년 8월 1일까지 838편의 연구물의 키워드 2,969개의 키워드를 분석 결과를 전체 키워드 구조, 시기별 키워드 구조, 핵심어간 구조의 세 가지 범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UCINET6를 통해 키워드의 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 에고 중심성 분석과 동시 출현 빈도에서 상위에 나타난 키워드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상위 키워드를 대상으로 NetDraw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시각화 작업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키워드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다. 1시기(2002-2006)에서부터 4시기(2018-2022)까지 기간별 분석에서 평가연구는 진단평가에서 놀이에 관련한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반성적모의수업, 유아교사교육, 반성적 사고, 생활지도방법, 수업만족도와 연결되어 있었다. ‘유아교사’ 키워드는 개별화교육과정, 배움공동체, 자기성장, 놀이, 놀이중심교육, 평가지표, 유치원평가 등과 연결되어 있었다. ‘2019개정누리과정’은 놀이, 국가수준유아교육과정, 유치원평가, 유아교사, 핵심역량, 장애유아 등과 연결되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서는 유아교육과정 평가와 관련하여 여전히 분리적이고 교육과정 실행을 평가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동시에 2019개정 누리과정에서 나타내는 담론의 변화를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의 개별 성장과 배움의 지원 그리고 교사의 교수 실천을 개선하면서 학습자 개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로 유아교육과정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유아교육과정 평가의 지평을 확대하는 담론과 실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제안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research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valuation using network analysis that shows the key keyword features and the structure among keywords. Method: Analysis results of 2,969 keywords of 838 research articles from 2002 to August 1, 2022 were presented in three categories: total keyword structure, keyword structure by period, and structure between keywords. Through UCINET6, we analyzed the keywords'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intermediary centralit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at appeared high in the frequency of co-occurrence, and visualized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co-occurrence frequency through NetDraw.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ll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appeared most frequently. In the analysis by period from the 1st period (2002-2006) to the 4th period (2018-2022), the evaluation research was leading from the diagnostic evaluation to the study of evaluation indicators related to play. 'Pre-kindergarten teacher' was connected with teacher education program, reflective simulation clas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life guidance method, and class satisfaction. The keyword 'early teacher' was linked to individualized curriculum, learning community, self-growth, play, play-centered education, evaluation index, and kindergarten evaluation. ‘2019 Nuri Curriculum’ was connected with ‘play’, ‘national level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kindergarten evaluation’, ‘infant teacher’, ‘core competency’, and ‘infa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research involving discourse and practice that expand the horizon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on how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as an evaluation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and learning of learners and to support individual growth of learners while improving teachers’ teaching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