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88

영문명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서보순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51~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의 구체적인 경험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참여한 질적연구물들을 통해 교육실습에서의 삶과 배움, 어려움, 요구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련 주제로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발간된 질적연구물 12편을 선정하고, 질적메타분석의 단계를 따라 연구물들을 관통하며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에 제시된 사례들과 해석들을 관통하며 재연결하고 재해석하면서 개념들과 범주들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낯선 존재인 자신을 대면하고, 지도교사와의 만남에서 지지와 거리감을 느끼며, 실습동료와 공동의 경험을 나누는 ‘교육공동체와 마주하기’에 놓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예측과 달리 흘러가는 유아와의 시간, 양성교육과 유아교육현장의 거리, 견고한 교육실습 문화 속에서 ‘교육현장과 부딪히기’를 겪었다. 셋째, 그들은 교육실습에서 실천적 지식을 만드는 실험을 이어가면서 실습생이자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유아교사 되어가기’를 경험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을 다룬 개별 질적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비교하고 해석함으로써 심층적인 명료화를 시도했다. 교육실습과 연결된 다양한 맥락을 파악하고, 교육실습에서 생성되는 예비교사의 배움을 발견하였으며, 그 지원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practical experience including life, learning, difficulties, and demands in educational practice by conducting a meta-synthesis of the qualitative studies the qualitative studies in which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Method: To this end, 12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steps. Concepts and categories were derived by reconnecting and reinterpreting the cases and interpretations presented in the articles. Results: First, pre-service teachers were placed in 'facing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face themselves as strangers, to feel supported and distant from meeting teachers, and to share experiences with peers. Second, pre-service teachers suffered from 'collision with the educational field'. For them, time spent with children flowed differently than expecte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field, and the practice culture was solid. Third, they experienced ‘becom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 in which they found their identity as trainees and teachers while experimenting with creating practical knowledge in educational practice.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clarify in depth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and interpreting qualitative studies on the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Various contexts related to practice were identified, the learning of pre-service teachers was discover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m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보순. (2022).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교육혁신연구, 32 (4), 51-80

MLA

서보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교육혁신연구, 32.4(2022): 5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