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76
- 영문명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trength and Pre-parental Role Recognition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우판 채진영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295~3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중 양국 모두 출산율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가임기 성인이 된 한중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성인애착,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의 수준이 국적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그들의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이 병렬이중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Model 4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Cronbach’s α 계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 중 ‘경제적 안정과 협력’에 대한 인식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에 비해 더 높았으며, ‘가족문화 참여’에 대한 인식이 더 낮았다. 한국 대학생의 불안애착, 회피애착,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의 수준 역시 중국 대학생보다 더 낮았다. 둘째, 한국 대학생의 경우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의 관계에서 회피애착에 의해서만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중국 대학생의 경우에는 회피애착의 부분매개효과만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첫째,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부모역할이 복잡해지고, 젊은이들이 결혼·출산을 포기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언제든지 부모가 될 가능성이 있는 대학생에게 가족을 이루고 부모가 된다는 것은 개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녀를 가지는 것은 어떠한 보람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것은 중요하므로 대학교에서는 예비부모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안정 애착의 세대간 전이를 통해서 건강한 가족관계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모가 될 가능성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의 자녀와 안정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mpared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health, adult attachment, and social parental role perception by nationality in a situation where fertility rates are decreasing in both Korea and China, and to verify whether each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ce attachment has the mediating effect on social parental role recognition.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Pearson's correlations,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 21.0 and Model 4 in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Results: First, Korean college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economic stability and cooperation’, but the lower level of ‘family culture participation’. Korean college students had lower levels of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d pre-parental role recognition. Second, in the case of Korean college students, it was completely mediated only by avoidance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pre-parental role recognition, and in the cas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avoidance attachment was partially mediated in this relationship. Conclusion: First, in the situation where the parents' role has been more complicated through social needs and the more young people seem to give up their marriage and having children, it is important to teach college students who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parents, including the meaning of being parent and the worth of having children by offering required pre-parenting education courses at colleg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to inform the important of secure attachment with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because it can lead them to have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ecure attach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