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0

영문명
The Effects of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GRIP) on Job-Seeking Anxiety and Loneliness among Job Seeker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남혜라 이동형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게슈탈트 치료이론에 바탕을 둔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을 취업준비생에게 적용하여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B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34세 취업준비생 80명을 대상으로 취업불안 척도,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 3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미리 정한 선별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모집된 취업준비생 24명 중 12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6회기의 GRIP을 1일 2회기로 3주에 걸쳐 받았으며, 통제집단은 무처치 대기자 집단이었다. 효과검증은 피험자 간 요인인 집단유형(실험/통제)과 피험자 내 요인인 시점(사전/사후/추후)에 따른 2×3 혼합설계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과 단순 주효과(Simple Main Effect) 분석 및 사후검정(Scheffé)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시점별로 종속 변인에 대한 GRIP의 효과의 크기(Cohen’s d)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GRIP은 취업준비생의 취업불안과 외로움을 유의하게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불안의 경우, 사후시점에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 한 달이 지난 추후시점에서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의 경우에도 사후시점에서는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가 추후시점에서 유의하게 경감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해석하고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차례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gestalt theory-based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GRIP) on job seekers’ job-seeking anxiety and loneliness. Method: The Job-seeking Anxiety Scale and the Korean UCLA Loneliness Scale were administered to 80 job seekers of ages between 19 to 34 residing in B metropolitan city. Twenty-four job seekers who were above 50th percentile on job-seeking anxiety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6-session GRIP twice a day weekly for 3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on a waiting list without any treatment. The effects of the GRIP on dependent measures were analyzed by a 2(group)×3(time) mixed-design, repeated measures ANOVAs with simple main effects analyses, post-hoc tests, and effect size(Cohen’s ds) as well as some qualitative analyses of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IP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gram group’s job-seeking anxiety and loneliness. For job-seeking anxiety, the positive effect of the GRIP was larger at the one-month follow-up test than the post-test. For loneliness, the positive effect of the GRIP was not emerged at the post test, but was significant at the follow-up. Conclusion: Our findings we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is study were fully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혜라,이동형. (2022).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32 (4), 1-23

MLA

남혜라,이동형.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32.4(2022):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