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이용수 91
- 영문명
- The Social Stigma Development Trajectory of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redictive Factors and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안태용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271~2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유형을 확인하고 발달 궤적 유형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및 발달 궤적 유형에 따른 적응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의 파악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 1~5차 년도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을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은 ‘중수준-유지 유형’, ‘고수준-증가 유형’ 및 ‘저수준-감소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진로장애, 자아탄력성, 부모지지가 확인되었다. 반면에 학업 중단 이전 적응 양상이나 학업 중단 초기 진로 인식이 사회적 낙인감의 초기치 수준 및 변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에 따른 적응 결과 변인(우울, 게임중독, 삶의 만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발달 궤적 별 우울, 게임중독 및 삶의 만족도 수준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수준-증가 유형’, ‘중수준-유지 유형’, ‘저수준-감소 유형’ 순으로 우울, 게임중독 수준이 높았고, ‘저수준-감소 유형’, ‘중수준-유지 유형’, ‘고수준-증가 유형’ 순으로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 조력을 위해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유형을 파악하고 이의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an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predictors and outcomes. Methods: Using the longitudinal survey on school dropout youth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rom the 2nd to 5th, a growth mixture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trajectories of social stigma, effects of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Results: First, three distinct trajectories of social stigma were identified as follows: ‘Mid-level maintenance type,’ ‘High-level increase type,’ and ‘Low-level reduction type’ based on the change of social stigma. Seco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barriers, ego resilience, and parental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each latent trajectory class. In contrast, a level of adaptation before dropping out of school and career perception at the beginning of dropping out of school. Third, in examining how different trajectories were associated with adaptation(depression, gam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pression, game addi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ach social stigma trajectory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tervention focusing on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stigma trajectories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out-of-school adolesc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