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용수 135
- 영문명
- A Historical Review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Focusing on Meaning Reflections based on John Dewey's Philosophy of Experienc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권정선 김회용 배지현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25~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념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현재 대학 교육의 본질과 대학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를 교육 철학적으로 음미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학의 사명과 역할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고찰하고, 3장에서는 최근의 대학의 사회적 책임 실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의 본질과 사회적 책임의 내용을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존 듀이의 철학에 기반하여 대학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를 음미해 본다. 연구결과: 대학은 사회 환경의 영향에 따라 필요에 의해 생겨나 시대적 요청에 의한 책무를 받아들이고 실천에 옮겨 온 역사성을 가지며, 그 기능은 교육, 연구, 봉사의 세 가지로 요약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반하면 교육과 연구, 봉사의 기능은 그 자체로 대학의 본질이며 사회적 책임의 요소가 된다. 논의 및 결론: 따라서 대학의 사회적 책임 실천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을 민감하게 살피는 가운데 대학의 기본적인 기능인 교육과 연구, 봉사에 충실함으로써 시작되며, 이것은 사회 변화에 대처하는 교육 혁신의 근본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historically and to philosophically appreciate the essence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today. Method: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how the mission and role of universities have changed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Chapter 3 examines recent aspects of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to identify the nature and content of social responsibility. Then, this study finally examines the meaning of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John Dewey's philosophy. Results: The university has a historicity that arises out of necessi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accept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times, and puts them into practice. And it could be seen that the functions of the university were summarized in three ways: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Based on Dewey's philosophy of experience, the functions of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are themselves the essence of the university and an element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lusion: Therefore, the university's practice of social responsibility begins by being sensitive to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adhering to the basic functions of the university, namely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which is fundamental to educational innovation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목차
Ⅰ. 서론: 환경의 변화와 교육의 변화
Ⅱ. 대학의 사회적 책임1) 실천의 역사
Ⅲ. 오늘날 대학의 사회적 책임
Ⅳ. 대학의 사회적 책임의 의미 성찰: 존 듀이의 철학에 근거하여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