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formance and Facilitating Factors in the Operation of Dahaengbok School and Analysis of Limitations and Impediments: Based on Teacher Experienc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김혜영 홍창남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111~14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형 혁신학교 모델인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한계와 저해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으로 질적 사례분석을 활용하였다. 다행복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6개교를 참여학교로 선정하고 소속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다행복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 경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로 민주적인 학교문화 정착, ‘연구-실천-성찰’의 선순환적 교육활동으로 교사 전문성 제고,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성과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리더교사의 헌신과 기다림이 기반이 된 다행복학교 철학 공유, 학교구성원 간 신뢰에 기반한 교사 자율성 확대, 역량있는 교원 확보, 학생 동기유발을 위한 토대 제공이 필수적이다. 성과와 함께 도출된 다행복학교 운영의 한계로 전통적인 학교문화의 장벽, 교사 개인의 교육실천으로 변화 범위 축소, 교사 소진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다행복학교 운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출발단계에서 학교구성원 간 합의 부족, 학교관리자의 마인드 부족, 다모임 운영 및 교사공동체 형성을 위한 리더십 미흡, 다행복학교에 대한 이해 부족 및 무관심한 학교분위기가 영향을 미쳤다. 논의 및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행복학교의 지속적인 성장을 고려할 때 시급하게 논의해야 할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연수를 통한 수업혁신의 역량 강화이다. 둘째, 학생 이해에 기초한 생활공동체 구축이다. 마지막으로 교직원 간 협력적 관계 구축 및 학교장 마인드 제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ot only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Dahaengbok School, a Busan innovation school, but also their facilitating and hindering factors. Metho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accomplish the study's purpose. To analyze the aspects of teachers' experience in operating the Dahaengbok School, six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perating the Dahaengbok School were selected as participating schools, and teachers were interviewed.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operation of Dahaengbok School ha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school culture, a virtuous cycle of research-practice-reflecti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student self-governm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establishing a democratic school culture. The philosophy of Dahaengbok School, which is based on the commitment of leader teachers, needed to be shared in order to promote these achievements, to expand teacher autonomy based on trust among school members, to secure competent teachers, and to motivate students. As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of Dahaengbok School derived along with the results, a number of problems can be identified, such as the barriers of the traditional school culture, the limitation of individual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and exhaustion among teachers. The school operations was also impeded by a lack of agreement among school members at the beginning, a lack of mindset by the school manager, a lack of leadership for running the Dahaengbok School Meeting and for forming a teacher community,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ahaengbok School, and an indifferent school environme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proposed the key tasks that should be discussed urgently when considering the continuous growth of Dahaengbok School. The first step is to enhance teacher capacity for class innovation. The second step is to build a living community based on student understanding. Last but not least, it is essential to improve faculty relationships and the mindset of the principa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