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이용수 110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for Abused Childre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송소현 김진희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32권 제4호, 345~37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1996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대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그 효과성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최종적으로 선정된 5편 논문들의 26개 개별연구 결과들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Meta-ANOVA를 이용하여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5편의 분석대상 논문에서 추출된 26개 개별연구 결과들의 정적효과 미술치료의 평균 효과크기는 1.146, 부적효과 미술치료의 평균효과크기는 -0.941로 나타나 관련 프로그램들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정적효과 미술치료의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에서 측정도구는 정서조절척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주당 시행 횟수는 주 2회, 중재유형은 긍정정서에서 가장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부적효과 미술치료의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에서 학대유형은 신체적 학대, 주사용 미술매체는 혼합, 총 회기는 20회기 이상, 중재유형은 공격성에서 가장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근거기반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운영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art therapy program for abused children, which Released in Korea from 1996 to December 2020 to find out what factor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programs. Method: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results of 26 individual studies of the finally selected 5 papers,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Meta-ANOVA.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static effect art therapy was 1.146 and the average effect size of negative effect art therapy was -0.941 of the results of 26 individual studies extracted from 5 analysis target papers, indicating that the related programs were very effective. In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for each variable of the static effect art therapy for children victimized by abuse, the measurement tool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in the emotional regulation scale, the number of trials per week twice a week, and the intervention type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in the positive emotion.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for each variable of the negative effect of child abuse victims, the abuse type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in physical abuse, injectable art media mixed, total sessions more than 20 sessions, and intervention type agg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art therapy programs for abused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표준화 연구
-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