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전문직관과 감정노동이 간호사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1

영문명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f Happiness Index of Clinical nurses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남문희(Mun-Hee Nam) 이미련(Mi-Ryon Lee)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3호, 399~41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의 행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전문직관, 감정노동, 행복지수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5월 11일에서 5월 30일이었고, 연구참석자는 B시 소재 100병상 이상 간호사 대상 127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chi-square, t-test, ANOVA, correlation,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3.19(5), 감정노동 3.44(5), 행복지수 3.22(5)점이었다. 특성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는 근무형태, 간호사 지원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행복지수는 간호전문직관과 양(+)의 상관, 감정노동은 행복지수와 간호전문직관과 음(-)의상관이 있었다.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입학동기, 감정노동, 근무형태 순이었고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22.5%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행복지수를 올리기 위해 간호전문직관, 간호직 선택동기, 감정노동, 근무형태의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rrelations in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index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nurses happiness at work. Resources were gathered from 127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Random sampling of nurses in over 100 beds hospitals in B city was done between May 11 and 30,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dow 22.0. The mean scores were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3.19(5), emotional labor 3.44(5), and happiness index 3.22(5).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type of work and motivation for selecting nursing,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appiness index and nursing professionalism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happiness index, the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happiness index included professionalism, motivation for selecting nursing, emotional labor, type of work.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2.3% of happiness index. To enhance happiness index in nurses, it is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strategies to focus on promoting their professionalism, emotional labor, motivation for selecting nursing and type of work.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문희(Mun-Hee Nam),이미련(Mi-Ryon Lee). (2019).간호전문직관과 감정노동이 간호사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3), 399-411

MLA

남문희(Mun-Hee Nam),이미련(Mi-Ryon Lee). "간호전문직관과 감정노동이 간호사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3(2019): 399-4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