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자기자비, 회복탄력성, 환자중심간호 간 구조적 모형분석
이용수 251
- 영문명
- Structural Equation model between clinical nurses' empathy capacity, self-compassion, resilience, and patient-centered nurs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경미 정지영 정민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741~7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자기자비, 회복탄력성, 환자중심간호 간의 관계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의 적합성 및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U시의 250 병상 이상 3개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임상간호사를 모집단으로 편의표본 추출한 2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2023년 8월 1일부터 8월 10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5.0,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경로계수의 유의성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공감역량에서 자기자비(β=.504, p<.001), 회복탄력성(β=.693, p<.001)과 환자중심간호(β=.849, p<.001)로 가는 직접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에서 환자중심간호(β=.399, p<.001)로 가는 직접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자기자비에서 환자중심간호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 검증했으며, 공감역량이 자기자비를 매개하여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간접효과(β=.293, p<.001)와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간접효과(β=.508,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인 영향과 자기자비와 회복탄력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으므로 공감역량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is the study builds a research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construct a model that can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nurses' empathy capacity, self-compassion, resilience, and pa-tient-centered nursing, and the model fit an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hypothesis and the re-search model analyzed.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50 beds in U City, and 230 clinical nurses were selected as a convenience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August 10, 2023 by filling out a structured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is used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and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Results The significanc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path coefficient, in empathic capacity, self-compassion (β=.504, p<.001), resilience (β=.693, p<.001) and patient-centered nursing (β=.849, p) <.001) was significantly positive (+). The direct path from resilience to patient-centered nursing (β=.399, p<.001) was positive and significant, and the direct path from self-compassion to patient-centered nursing was not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d the indirect effect of empathy on patient-centered nursing by mediating self-compassion (β=.293, p<.001) and patient-centered nursing by mediating resilience The indirect effect (β=.508, p<.001) was verifi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Clinical nurses' empathy competency had a direct effect on patient-centered nursing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resilience and self-compassion, so it was verified that resilience and self-compass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empathy competency on patient-centered nurs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차이 연구
-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이직의도,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경로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3호 목차
- 문헌분석을 통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통합학급 음악교육 요구에 관한 동향 분석
-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놀이지원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Electronic Portfolios on EF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 및 현직교사의 경험
- 개인중심접근 기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발달장애학생의 학습과 학교생활 긍정적 변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교육용 보조기기 적용 경험의 의미 탐색
-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척도 타당화 연구
-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공감학습 요구분석
-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평생학습 역량 연구
- 지방교육행정 공무원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내면화된 수치심이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기호 인지 체계의 전환 측면에서 글자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방안
- 예비체육교사들의 표현활동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 경험과 탐색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자기자비, 회복탄력성, 환자중심간호 간 구조적 모형분석
- 예비역사교사의 교재 재구성 경험을 통한 변화 탐색
- 초등학교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 PYP의 비교 분석
- 취학계층 아동의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 참여효과 연구
-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을 위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예비교사의 AI 융합교육 교수역량 측정 도구 개발
- 국내 대학 디자인사고 교육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거점 국립대학교 선출직 총장의 특성 분석(1988~2023)
-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부모 소진에 미치는 영향
- NCS 수리능력 영역의 대수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 PBL을 활용한 협력적 글쓰기 강의의 설계 및 운영
-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와 고등학교 ‘중국어’ IB 교육과정의 접근 가능성 모색
-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 음성 특성 분석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지도 방안
-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또래관계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형 개발
- 제조업 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인기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
- 보육교사의 그릿과 창의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신문 기사에 나타난 유아 수학에 대한 인식연구
- 해외거주 유아를 위한 스마트폰 앱 활용 가정 연계 한국어교육 실행연구
-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행복감 경험에 대한 탐구
-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 유아 사회적유능감,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개인특성,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이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 대학생의 학점에 의한 심리적 영향
-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미얀마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제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