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인중심접근 기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66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for Special Education to Establish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Based on Person-Centered Approaches: Focusing on the COACH progr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혜 정유진 최효언 임누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485~5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개인중심접근을 기반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해 COACH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영역을 기준으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전 교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OACH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영역을 기준으로 키워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교과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실과, 진로와 직업, 체육, 음악, 미술, 정보통신활용, 생활영어, 보건으로 분석범위는 초등학년군부터 고등학년군까지의 전 학년군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COACH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영역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학업준비기술이 가장 많은 성취기준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직업이 가장 적은 성취기준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급별 분석 결과는 초등학교급, 중학교급, 고등학교급 모두 학업준비기술에 관한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 초등학교급과 중학교급은 직업 관련 성취기준이 가장 적었으며, 고등학교급은 지역사회 관련 성취기준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영역별 교과목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의사소통 영역은 국어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성 영역은 사회, 개인 관리 영역은 과학, 여가 영역은 체육, 학업준비기술은 과학, 기능적 학습기술 영역은 수학, 학교생활 영역은 체육, 지역사회 영역은 수학, 직업 영역은 진로와 직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인중심접근 기반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중심접근에 기반한 개별화교육계획 설계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높은 교육과정 문해력 및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이 요구된다. 둘째, 개인중심접근에 기반한 개별화교육계획 설계를 위해서는 학습한 내용이 실생활과 연계될 수 있도록 개별화교육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all subjects of the 2022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urriculum area of the COACH program to establish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hrough an person-centered approach.
Methods To this end, keywor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urriculum area of the COACH program, and the analysis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ll grade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including integrated curricu-lum (right life, wise life, fun life), Korean, math, science, practical course, career and job, physical, music, art,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ealth.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when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curriculum area of the COACH program, it was analyzed that academic preparation skills had the most achievement standards and jobs had the least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school level,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included the highest achievement standards for academic preparation skill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had the least job-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and high school lev-els had the least community-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ubjects by curriculum area, the communication area was the highest, and the social area was analyzed as society, personal management as science, leisure as science, academic preparation skills as science, functional learning skills as math, community as well as career.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based on an person-centered approach and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sign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based on an person-centered approach, special teachers' high curriculum literacy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capabilities are required. Second, in order to design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based on an person-centered approa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so that the learned content can be linked to real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차이 연구
-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이직의도,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경로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3호 목차
- 문헌분석을 통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통합학급 음악교육 요구에 관한 동향 분석
-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놀이지원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Electronic Portfolios on EF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 및 현직교사의 경험
- 개인중심접근 기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발달장애학생의 학습과 학교생활 긍정적 변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교육용 보조기기 적용 경험의 의미 탐색
-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척도 타당화 연구
-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공감학습 요구분석
-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평생학습 역량 연구
- 지방교육행정 공무원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내면화된 수치심이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기호 인지 체계의 전환 측면에서 글자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방안
- 예비체육교사들의 표현활동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 경험과 탐색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자기자비, 회복탄력성, 환자중심간호 간 구조적 모형분석
- 예비역사교사의 교재 재구성 경험을 통한 변화 탐색
- 초등학교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 PYP의 비교 분석
- 취학계층 아동의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 참여효과 연구
-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을 위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예비교사의 AI 융합교육 교수역량 측정 도구 개발
- 국내 대학 디자인사고 교육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거점 국립대학교 선출직 총장의 특성 분석(1988~2023)
-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부모 소진에 미치는 영향
- NCS 수리능력 영역의 대수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 PBL을 활용한 협력적 글쓰기 강의의 설계 및 운영
-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와 고등학교 ‘중국어’ IB 교육과정의 접근 가능성 모색
-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 음성 특성 분석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지도 방안
-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또래관계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형 개발
- 제조업 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인기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
- 보육교사의 그릿과 창의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신문 기사에 나타난 유아 수학에 대한 인식연구
- 해외거주 유아를 위한 스마트폰 앱 활용 가정 연계 한국어교육 실행연구
-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행복감 경험에 대한 탐구
-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 유아 사회적유능감,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개인특성,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이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 대학생의 학점에 의한 심리적 영향
-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미얀마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