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조업 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56
- 영문명
- Risk factors that influenc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숙 김태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167~1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제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근골격계질환 증상 조사표와 직업성 스트레스 조사표 (NIOSH 한국어판)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조사된 134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SPSSWIN 26.0을 사용하였고,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목부위의 자각증상은 보상체계가 부적절할수록 1.067배 높았고, 직장문화가 스트레스요인일 때 0.951배 높았다. 어깨부위 자각증상은 보상체계가 부적절할수록 1.048배 높았고, 팔/팔꿈치부위 자각증상은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 3.712배 높았고,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0.946배 높았다. 손/손가락/손목부위 자각증상은 여자인 경우 3.517배 높았고, 기혼보다는 미혼인 경우 13.387배 높았다. 허리부위 자각증상은 직장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보다 10년 이상에서 7.999배 높았고, 보상체계가 부적절할수록 1.044배 높았다. 다리/발부위의 자각증상은 여자인 경우 3.517배 높았다.
결론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은 신체부위에 따라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업 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바탕으로 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MSS) by locations i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Methods 134 factory workers comple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symptom assessment and general job stress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of the NIOS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predi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MSS by locations using SPSSWIN 26.0.
Results Regarding signific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SS by location, higher distress levels from a lack of a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job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having MSS in the neck. However, hav-ing interpersonal conflict was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having MSS in the neck. In shoulders, those who were unsatisfied with the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job had 1.048times the odds of having MSS than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the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position. In arms and elbows, female workers had 3.712times the odds of having MSS than male workers. Having a higher workload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having MSS. Being female and unmarried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MSS in hands, wrists, and fingers. In the lower back, having more than 10years of work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reporting MSS than having less than 1-year work experience. In addition, those feeling unsatisfied with the reward system from the current job were associated with higher odds of reporting MSS in the lower back. In terms of the occurrence of MSS in legs and feet, female workers had 3.517times the odds of having MSS in legs and feet than male worker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MSS i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differ from symptom locations. These preliminary findings can be used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for manufacturing workers to alleviate work-related MSS by sit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 생태환경 교과목 이수에 따른 환경문제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차이 연구
-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이직의도, 일과 삶의 균형 간의 경로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23호 목차
- 문헌분석을 통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통합학급 음악교육 요구에 관한 동향 분석
-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놀이지원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Electronic Portfolios on EF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 및 현직교사의 경험
- 개인중심접근 기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발달장애학생의 학습과 학교생활 긍정적 변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교육용 보조기기 적용 경험의 의미 탐색
- 유아의 놀이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척도 타당화 연구
- 한국 대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공감학습 요구분석
- 보드게임을 활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자살경향성이 있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성인 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프로파일에 따른 평생학습 역량 연구
- 지방교육행정 공무원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내면화된 수치심이 거절민감성과 자기침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기호 인지 체계의 전환 측면에서 글자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방안
- 예비체육교사들의 표현활동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 경험과 탐색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자기자비, 회복탄력성, 환자중심간호 간 구조적 모형분석
- 예비역사교사의 교재 재구성 경험을 통한 변화 탐색
- 초등학교 2022 개정 교육과정과 IB PYP의 비교 분석
- 취학계층 아동의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 참여효과 연구
-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교수학습센터 프로그램의 학습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 간호대학생을 위한 팀 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협력적 자기효능감, 공유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예비교사의 AI 융합교육 교수역량 측정 도구 개발
- 국내 대학 디자인사고 교육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보육교사의 정서역량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거점 국립대학교 선출직 총장의 특성 분석(1988~2023)
-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유아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부모 소진에 미치는 영향
- NCS 수리능력 영역의 대수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 PBL을 활용한 협력적 글쓰기 강의의 설계 및 운영
-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교학점제와 고등학교 ‘중국어’ IB 교육과정의 접근 가능성 모색
- 예비 국어교사와 현직 국어교사의 음성 특성 분석
-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지도 방안
-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또래관계와 진로적응성의 관계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놀이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형 개발
- 제조업 근로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인기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
- 보육교사의 그릿과 창의성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신문 기사에 나타난 유아 수학에 대한 인식연구
- 해외거주 유아를 위한 스마트폰 앱 활용 가정 연계 한국어교육 실행연구
- 만 1세 영아반 보육교사의 행복감 경험에 대한 탐구
- 부부갈등, 어머니 우울, 유아 사회적유능감,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개인특성, 가정 및 학교환경 변인이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 대학생의 학점에 의한 심리적 영향
-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교직열정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미얀마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제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