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전전담기술인제도의 안전성과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5

영문명
A study on the safety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dedicated to safety: Focusing on public works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it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최상찬 이준원 황순재 조대진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5호, 273~28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전담기술인 제도가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실적이 부족한 공공공사 건설사업관리현장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2020년 10월 6일 이후 공공공사를 대상으로 안전전담기술인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공공공사 발주공사의 사고사망자 수는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시공사 중심의 안전관리, 지도 감독하는 안전전담기술인 제도의 개선방안 제언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연구모형은 독립변수 요인으로 제도적 요인, 역량적 요인, 방법적 요인이 안전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발주청, 건설사업관리기술인 시공사를 대상으로 172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 및 결측지 16명을 제외한 156명의 유효설문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통계분석프로그램은 IBM SPSS28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제도적 요인의 Cronbach’s α계수는 0.706, 역량적 요인은 0.915, 방법적 요인은 0.672로 역량적 요인이 가장 높으며 방법적 요인이 낮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안전전담기술인 제도의 제도적 요인과 역량적 요인은 r=.692, p=.000이고 방법적 요인과 역량적 요인은 r=-.223,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제도적 요인과 방법적 요인은 r=.037, p=.651로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제도적 요인은 표준계수 .420, 유의수준 .000, 역량적 요인은 표준계수 .266, 유의수준 .004, 방법적 요인은 표준계수 .166, 유의수준 .013으로 나타나 안전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전담기술인 제도는 공공공사 대상 현장 안전성과의 효율성을 높이는 제도임이 실증적 연구 결과로 나타났으며, 안전전담기술인 제도의 지속적 유지와 개선을 통해 사고예방 및 사고비용 절감에 유효한 제도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민간공사 후속연구를 통해 안전전담감리제도가 조기에 도입되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과 사고비용 절감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impact of the safety technology system on safety performanc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ites with insufficient research results. Since October 6, 2020, the safety technician system has been implemented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but as the number of accidental death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s still not decreasing, the safety technician system, which supervises construction company-centered safety management, has been suspend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model of the research method is a study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institutional factors, competency factors, and methodologic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 factors on safety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study, a survey of 172 people was conducted targeting the ordering offic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echnicians,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e valid surveys of 156 people, excluding 16 unfaithful respondents and missing answ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BM SPSS 28 was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institutional factor was 0.706, the competency factor was 0.915, and the method factor was 0.672, showing that the competency factor was the highest and the method facto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institutional factors and competency factors of the safety technician syst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r=.692, p=.000, and the methodological factors and competency factors were r=-.223, p=.005. .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institutional factors and methodological factors was r = .037, p = .651, indicating that the correl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nstitutional factors showed a standard coefficient of .420 and a significance level of .000, the competency factors showed a standard coefficient of .266 and a significance level of .004, and the methodological factors showed a standard coefficient of .166 and a significance level of .013. +) was found to have an impact and was adopted. Through this study, empirical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afety technician system is a system that improves safety and efficiency at public construction sites, and that it is an effective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s and reducing accident costs through continuous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safety technician system. Confirm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rough follow-up research on private construction, a dedicated safety supervision system will be introduced early, contributing to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reducing accident costs at construction sit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및 가설설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찬,이준원,황순재,조대진. (2023).안전전담기술인제도의 안전성과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 273-286

MLA

최상찬,이준원,황순재,조대진. "안전전담기술인제도의 안전성과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3): 273-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