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민자치조직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3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nse of Local Community in Residents' Self-Government Organizations: Focusing on residents' associations and residents' self-government committe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강정원 홍성운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5호, 145~1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1995년 지방자치제도가 복원된 이래로 지방자치제도의 안정적인 시행과 대의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는 주민자치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다. 1998년 주민자치의 기초단위인 읍·면·동 수준에서 주민참여와 소통을 통해 주민의 욕구를 반영하는 주민자치위원회의 설치·운영하였으나 그 목적으로 달성하지 못했다. 이에 주민자치위원회의 한계였던 주민참여 범위 확대를 위해 2010년 주민자치회 특별법을 마련하였다. 주민자치회의 목적은 주민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의 전통공동체를 복원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공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주민자치회로 전환 지역과 전환하지 않은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비교함으로써 주민자치회 전환 정책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정량 연구를 활용하였고, 독립변수로 주민자치 역량 변수와 종속변수로 공동체 의식 등 주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 도구를 활용하여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측정하였다. 경기도 고양시의 44개 행정동에 방문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였고, 수거한 설문지를 SPSS version 27.0을 통해 분석하였다. 회수된 설문 응답을 대상으로 기술 통계, 분산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주민자치회를 설치·운영하는 지역과 주민자치위원회를 설치·운영하는 지역 간 주민이 갖는 공동체 의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주민자치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전환 정책이 기대하지 않은 효과가 나타나는 정책 오류가 발생하였다. 주민자치회가 공동체 의식을 향상과 전통적인 지역공동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지역 애착’과 ‘지역 정체성’ 그리고 ‘충족감’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민자치회 위원의 전문적인 역량을 검증함으로써 주민의 대표성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민 스스로 지역 문제해결을 통해 대의민주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the restoration of the self-governance system in 1995, Korea has been striving to stabiliz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and expand local autonom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1998, a local self-governance committee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to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throug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t the town, village, and district levels, which are the basic units of local self-governance, but it did not achieve its purpose. Therefore, in 2010, a special law was enacted to expand the scope of resident participation, which was a limitation of resident autonomy committees. The purpose of the Act was to establish an efficient public service system by expand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toring local traditional communities.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ighborhood association conversion policy by compar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neighborhoods that were converted to neighborhood associations and those that were not converted to neighborhood associations.
Quantitative research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on major factors such as residents' self-governance capac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s a dependent variable. A survey tool was utilized to measur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sidents visiting 44 administrative wards in Goyang-si, Gyeonggi-do,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7.0.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survey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between neighborhood councils and neighborhood committees. This suggests that the policy of converting neighborhood committees into neighborhood associations had an unexpected effect, resulting in a policy error.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store traditional neighborhood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residents' ‘local attachment’, ‘local identity’, and ‘sense of fulfillment’. It is also necessary to verify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community council members to ensure their representation.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by solving local problems with residents through connecting with local resourc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가설의 검증
Ⅴ. 연구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민자치조직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 안전의 4요소(4M)가 굴삭기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기반 고위험분만실습 경험
-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책무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의 위험의 이주화 문제 개선을 위한 시론적 연구
- 중소상공인 패션제조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교육 기반의 솔루션 앵커 실증 및 분석
-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시행과 안전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자 의무와 역할의 개선방안 연구
- 유치원 교사의 예비교사 교육실습 지원 경험에 대한 개념도 분석
- 안전전담기술인제도의 안전성과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FMS 기능성 동작훈련이 중국 대학 에어로빅 선수의 신체자세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체육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 연구
- 건설업 안전관리자 인식도 조사를 통한 스마트안전기술 활성화 방안
- 베이지안 모델을 활용한 서울시 자치구별 범죄예측지도 연구
- 여자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수준 및 교육실태 조사
- 대학교육에서의 플립드러닝 효과성 탐색
- 화재대응 모의훈련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천연생물자원을 활용한 국제적정기술 사업화 모델개발
-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령운전자 대상 조건부 운전면허제도 도입에 대한 수용성 연구
- 빅카인즈 시스템을 활용한 노인학대 인식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 연구
-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안전사고 분석(2017-2021)
- 도시재생 지역 내 공동체 의식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갈등대처의 조절효과
- 질량유량 기반의 스프링클러헤드 수별 급수관 구경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운영 실태 및 정책적 요구
- 가석방 없는 무기형 입법안에 대한 검토
- 간호대학생의 재난대응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대학생의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 경험에 따른 불안전한 행동이 안전보건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폭염재난 취약계층에 대한 보도주체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확률형 아이템 관련 손해배상에서의 손해액의 산정 - 게임산업법 개정안(김승수의원 대표발의) 제33조의2 제2항을 중심으로 -
- 예술인 사회보장 제도의 현황 분석을 통한 법적 개선방안 제언
- 미성년 스포츠 선수를 위한 스포츠윤리센터의 역할에 관한 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