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124
- 영문명
- Grammatical Terminology of Hangul Orthography: Focusing on the Literacy of Language User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백준영(Paik Junyou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551~5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주요 언어 규범 중 하나인 ‘한글 맞춤법’에 대한 언어 전공자가 아닌 언어 사용자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글 맞춤법’의 존재의 의의와 가치는 충분히 존재하지만, 언어 사용자들에게는 삶 속에서 ‘한글 맞춤법’이라는 언어 규범이 생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언어 사용자들이 한글 맞춤법의 문법 개념 용어에 익숙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에서 17개의 문법 개념 용어 중 ‘음절’, ‘두 음 법칙’, ‘조사’, ‘어간’, ‘접미사’를 제외한, 제시된 문법 개념 용어들에 대해 설문 참여자의 과 반수가 모른다는 답을 했다. ‘체언’과 ‘용언’의 경우 70%이상 그 의미를 알지 못한다고 응답했고, ‘보조 용언’과 ‘예사소리’의 경우는 모른다는 응답이 83%이상이 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한글 맞춤법 해설’ 수정, 간략한 문법 개념집 제공, 학교 교육 개정 등을 제안했다. 이러한 시도는 중요한 언어 규범인 ‘한글 맞춤법’이 언어 사용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knowledge of Korean grammatical terminology among language users, who are not experts in Hangul orthography. Although the meaning and value of Hangul orthography are sufficiently recognized, there is a problem of its unfamiliarity among language users, and the survey confirmed that language users were unfamiliar with the grammatical terminology of Hangul orthography. Among the 17 grammatical concept term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presented grammatical concept terms besides “syllable,” “initial law,” “particle,” “stem,” and “suffix.” More than 7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meaning of “substantive” or “predicate,” and more than 83%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the meaning of “auxiliary predicate” or “basic sound.” Accordingly, I suggest revising the Hangul orthography commentary, providing a brief grammar concept book, and improving school education. As an important language norm, efforts are needed to ensure the more effective use of Hangul orthography among language user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한글 맞춤법’에 대한 언어 사용자의 인식 조사
4. ‘한글 맞춤법’에 기술된 문법 개념 용어와 관련한 문제 해결 방안 제안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감수성, 진보적 사회로 내딛기 위한 첫걸음 - 신지영, 『언어의 높이뛰기』, 인플루엔셜, 2021.
-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자료로부터의 추정과 연구자의 덕목 - 아먼드 단거의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철학자의 탄생』 서평
-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 너의 표정을 짓고, 너-나의 흉터를 만지고 - 최윤 소설집 『동행』과 단편 「얼굴을 비울 때까지」
- 로컬리즘 교육을 위한 팀티칭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교양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글쓰기를 통한 서사 치유 방안 - 자전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생 읽기 그릿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에 반영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의사소통 연구 - 언어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제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 준비단계’에 관한 연구 -1908년 6~7월에 작성된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 노년 여성의 시 쓰기와 삶 읽기 - 『시가 뭐고?』,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대학글쓰기 교육의 성찰적 주체 개념 연구
- 글쓰기 교육과 문장 단절의 문제
- 시선과 응시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1920년대 한국시의 전개 과정과 근대적 특성 연구
- 언어로서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의 의미론적 가정들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작문교육 관점
-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임진왜란 의병 실기에 나타나는 전란 경험 글쓰기 - 정경운의『 고대일록』을 대상으로
- 한국어 용언 어간 말음 /ㅎ/의 음운 현상 연구
- 다문화교육정책 방향 탐색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및 현황 비교·분석
- 리터러시 연구 13권 6호 목차
-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원생의 상담자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CQR 중심으로
- 대학생의 창의적 메타인지와 동기 및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잠재력의 조절효과: 컨템포러리 댄스의 관점
- 은둔고립 청년 지원 프로그램 실태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