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이용수 512
- 영문명
-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n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최종갑(Choi Jong-gab)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301~3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 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11명의 예비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폐쇄형과 개방형 항목으로 이루어진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양적 및 질적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초등 교사는 미디어 리터 러시 역량 중 윤리적이고 책임 있는 미디어 사용 능력과 미디어 관련 이슈를 수업에서 다룰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미디어 정보를 제작하는 능력과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인 문제에 참여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중요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미디어 리터 러시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자기 효능감과 세부역량 사이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리터 러시 역량 강화 방안으로 예비초등 교사는 미디어 관련 과목을 확대하는 것과 토론 및 다양한 활동 중심의 수업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예비 교원들의 미디어 리터 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동시에 관련 분야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perceptions of 11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nd education. A questionnaire containing open- and close-ended questions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among media literacy competenci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sidered the ability to use media ethically and responsibly and to deal with media-related issues in class as among the most important; by contrast, the ability to produce media information and participate in social issues through media were considered relatively unimportant.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tailed media literacy competencies and participants’ self-efficacy among factors influencing media literacy competencies. Finally, to strengthen media literacy competencies, participants recommended expanding media-related subjects and discussion- and activity-centered class methods. These results can help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education to develop media literacy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facilitate research in related fields.
목차
1. 서론
2.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관련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감수성, 진보적 사회로 내딛기 위한 첫걸음 - 신지영, 『언어의 높이뛰기』, 인플루엔셜, 2021.
-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자료로부터의 추정과 연구자의 덕목 - 아먼드 단거의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철학자의 탄생』 서평
-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 너의 표정을 짓고, 너-나의 흉터를 만지고 - 최윤 소설집 『동행』과 단편 「얼굴을 비울 때까지」
- 로컬리즘 교육을 위한 팀티칭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교양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글쓰기를 통한 서사 치유 방안 - 자전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생 읽기 그릿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에 반영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의사소통 연구 - 언어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제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 준비단계’에 관한 연구 -1908년 6~7월에 작성된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 노년 여성의 시 쓰기와 삶 읽기 - 『시가 뭐고?』,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대학글쓰기 교육의 성찰적 주체 개념 연구
- 글쓰기 교육과 문장 단절의 문제
- 시선과 응시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1920년대 한국시의 전개 과정과 근대적 특성 연구
- 언어로서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의 의미론적 가정들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작문교육 관점
-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임진왜란 의병 실기에 나타나는 전란 경험 글쓰기 - 정경운의『 고대일록』을 대상으로
- 한국어 용언 어간 말음 /ㅎ/의 음운 현상 연구
- 다문화교육정책 방향 탐색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및 현황 비교·분석
- 리터러시 연구 13권 6호 목차
-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토론문] 한국 장학재단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및 삶의 질 분석
- [발표 3-4] 한국 장학재단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및 삶의 질 분석
- [토론문] 중고등학생의 참여자치역량 강화를 위한 서울교육정책 현황 및 개선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