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에 반영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의사소통 연구 - 언어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105
- 영문명
- A Linguistic Anthropological Study of Verbal Communication between AI Robots and Humans in Kazuo Ishiguro’s Novel- Klara and the Su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환영(Park Hwanyou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349~39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즈 오 이 시구로(KazuoIshiguro)의 장편 소설인 『클라라와 태양 (KlaraandtheSun)』에 반영된 다양한 영역의 구두에 의한 의 사소통(verbalcommunication)을 언어 인류학적으로 분석하고 자 한다. 이 소설 속에서 주인공인 클라라(Klara)는 여성 인공지능 로봇으로 등장하고 인공지능 친구(AF)라고도 불리워지는데, 어린이와 같이 좀 더 젊은 사람들과 원활하게 의 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이 소설 속에서 클라라는 인공지능 로봇으로서 조시(Josie)를 돌보고, 조시의 친구로서 친절하고 심사숙고 하게 조시와 의 사소통을 진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더욱이 조시의 어머니는 클라라에게 조시의 언어, 말씨, 행동 등을 흉내 내도록 장려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시가 건강이 조금씩 회복되고 성인이 되자, 클라라는 마치 어린이들의 인형과 같이 조시에게는 더 이상 좋은 친구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클라라는 결국 고 물상의 야적 장에 버려진다. 이것은 조시가 건강해지고 대학생이 될 정도로 성장하게 되면서 클라라는 조시에게 대화상대자로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가즈 오 이 시구로(KazuoIshiguro)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 (KlaraandtheSun)』 속에는 인공지능 로봇인 클라라와 많은 여러 부류의 사람들(조시, 릭, 조시의 어머니, 릭의 어머니, 조시의 아버지, 멜라니아, 헨리 카팔디 씨 등)사이의 섬세한 호칭과 지칭을 잘 기술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클라라가 조시와 릭을 호칭하거나 지칭할 때는 주로 그들의 이름(firstname)을 사용하여 호칭하거나 지칭하는데 이것은 그들이 그녀의 친구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클라라가 조시의 어머니, 릭의 어머니 그리고 조시의 아버지를 호칭하거나 지칭할 때는 아주 어색한 방식으로 “부인(madam)” 혹은 “타이틀 +이름(Title+firstname)”과 같이 호칭하거나 지칭한다. 이러한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 익숙하지 않은 구두에 의한 의 사소통은 클라라가 멜라니아를 “가정부님(housekeeper)”이라고 직업과 관련한 “직함”만을 가지고 호칭할 때도 보여진다. 인간 사회에서 구두에 의한 의 사소통은 흔히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연계해 주고 연대감을 형성하게 만들어 준다. 가까운 미래 사회에서 인공지능 친구이며 완벽한 인공지능 로봇인 클라라는 언제라도 대화가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아마도 좋은 대화상대자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즈 오 이 시구로(KazuoIshiguro)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 (KlaraandtheSun)』에서 잘 묘사되어 있듯이 인공지능 로봇이 가질 수 있는 인간과의 지속 가능한 의 사소통에는 한계가 있을 수도 있다. 즉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의 사소통 방식에도 변화를 가질 수 있으며, 대화 상대와의 사회적 지위(혹은 나이)또는 개인적인 친밀도 등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변할 수도 있다. 특히 주어진 언어 상황에 맞는 적절한 호칭과 지칭의 사용은 단순한 언어 행위이기 보다는 각 사회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사회 및 문화적인 요소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언어 문화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the verbal communication reflected in Kazuo Ishiguro’s novel -Klara and the Sun- from the standpoint of linguistic anthropology. The main character Klara is an AI(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n the form of a female AF(artificial friend),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younger persons. Hence Klara plays a vital role as an AI of looking after Josie and of being friendly and considerately communicating with her. Furthermore, Klara is encouraged to imitate Josie’s language, speech, and behavior. Nevertheless, when Josie gradually recovers her health and becomes an adult soon to enter university, Josie no longer needs Klara as her best friend, discarding her just like children’s dolls at a waste disposal site.
Moreover, this novel subtly describes terms of address and terms of reference between Klara and a variety of people, such as Josie, Rick, Josie’s mother, Rick’s mother, Josie’s father, Melania, and Mr. Henry Capaldi. Klara addresses Josie and Rick by their first names since they are her friends. However, when Klara addresses Josie’s mother, Rick’s mother and Josie’s father, she uses awkward terms of address such as “madam” and “Title+first name.” Furthermore, this unaccustomed verbal communication is visible when Klara addresses Melania by only her “title” of ”housekeeper.“
In human society, verbal communication often bridges social networks and establishes solidarity among community members. Eventually, an artificial friend like Klara, who is a perfect AI robot, may help people who need company by chatting with them whenever they want. However, as shown in -Klara and the Sun-, it may be limited, for as people mature, their social status and intimacy with their counterparts and conversations may change, leading them to develop additional forms of verbal communication.
The proper usage of both terms of address and terms of reference is not merely a matter of language practices but also deeply relates to a society’s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목차
1. 서론
2. <클라라와 태양>에 내재된 인공지능 친구(AF) 관련 의사소통의 유형과 내용
3. 소설작품 <클라라와 태양>이 가지는 언어인류학적 가치와 특징
4. 결론
5.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감수성, 진보적 사회로 내딛기 위한 첫걸음 - 신지영, 『언어의 높이뛰기』, 인플루엔셜, 2021.
-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자료로부터의 추정과 연구자의 덕목 - 아먼드 단거의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철학자의 탄생』 서평
-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 너의 표정을 짓고, 너-나의 흉터를 만지고 - 최윤 소설집 『동행』과 단편 「얼굴을 비울 때까지」
- 로컬리즘 교육을 위한 팀티칭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교양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글쓰기를 통한 서사 치유 방안 - 자전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생 읽기 그릿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에 반영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의사소통 연구 - 언어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제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 준비단계’에 관한 연구 -1908년 6~7월에 작성된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 노년 여성의 시 쓰기와 삶 읽기 - 『시가 뭐고?』,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대학글쓰기 교육의 성찰적 주체 개념 연구
- 글쓰기 교육과 문장 단절의 문제
- 시선과 응시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1920년대 한국시의 전개 과정과 근대적 특성 연구
- 언어로서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의 의미론적 가정들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작문교육 관점
-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임진왜란 의병 실기에 나타나는 전란 경험 글쓰기 - 정경운의『 고대일록』을 대상으로
- 한국어 용언 어간 말음 /ㅎ/의 음운 현상 연구
- 다문화교육정책 방향 탐색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및 현황 비교·분석
- 리터러시 연구 13권 6호 목차
-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토론3] ESD 교육 ‘미평어린이집’ 활동사례 중심으로
-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지오지브라 클래스룸 기반 수학학습 모델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무한소수를 활용한 실수의 정의에 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