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 교육과 문장 단절의 문제
이용수 241
- 영문명
- Writing Education and Sentence Disconnec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정희모(Chong Heemo)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13~4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문장 단절의 문제를 다룬다. 문장 단절은 학생들의 텍스트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제이다. 문장 단절의 문제가 어려운 것은 학생들이 납득할 수 있게끔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문장 단절은 어법적인 측면과 비논리적인 측면, 장황한 표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게다가 글을 쓴 필자와 이를 읽는 독자의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문장 단절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학술적인 입장에서 문장 단절과 교육적인 입장에서 문장 단절의 문제를 분리해서 설명했다. 아울러 문장 단절을 극복하기 위해 응집성 높은 문장 연결의 문제를 함께 살펴보았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학술적인 입장에서는 문장 단절이 일어나는 요인과 유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Wikborg(1985)의 응집성 단절의 양상과 유형을 살펴하고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Reinhart(1980)가 제시한 세 가지 응집성의 조건과 Wikborg(1985)가 설명한 텍스트의 응집성 조건들을 검토하여 응집성 있는 텍스트가 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을 검토했다. 이런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하면 응집성 있는 텍스트는 텍스트 전개에 있어 상위 주제의 장악 여부, 그리고 텍스트의 기능적 사용 여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학술적으로 검토한 응집성 단절 유형과 응집성 있는 텍스트 조건들을 글쓰기 교육에 적용시킬 방안도 살펴본다. 학술적으로 검토된 내용을 쓰기 교육에 그대로 적용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상위주제와 세부 전개의 결합을 위해 Chafe(1994)의 활성화 개념을 제시했으며 세부적인 결속성(cohesion)개념을 제시했다. 이를 응용해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면 학생들이 응집성 높은 글을 쓰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sentence break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Sentence break is a common problem in students’ texts. The sentence break problem is difficult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it logically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i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and types of sentence breaks in an academic perspective. For this, We reviewed the three cohesive conditions presented by Reinhart (1980) and the cohesive conditions of the text described by Wikborg (1985). Through this, various conditions for becoming cohesive text were reviewed. The following facts can be found by synthesizing the theories of these scholars. For cohesive tex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important to dominate the higher topic and to use the text functionally. This paper also examines how to apply text conditions to write cohesive text in writing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문장 단절의 사례와 유형
3. 응집성 있는 문장의 조건
4. 응집성 연결과 수업 전략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감수성, 진보적 사회로 내딛기 위한 첫걸음 - 신지영, 『언어의 높이뛰기』, 인플루엔셜, 2021.
-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자료로부터의 추정과 연구자의 덕목 - 아먼드 단거의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철학자의 탄생』 서평
-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 너의 표정을 짓고, 너-나의 흉터를 만지고 - 최윤 소설집 『동행』과 단편 「얼굴을 비울 때까지」
- 로컬리즘 교육을 위한 팀티칭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교양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글쓰기를 통한 서사 치유 방안 - 자전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생 읽기 그릿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에 반영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의사소통 연구 - 언어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제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 준비단계’에 관한 연구 -1908년 6~7월에 작성된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 노년 여성의 시 쓰기와 삶 읽기 - 『시가 뭐고?』,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대학글쓰기 교육의 성찰적 주체 개념 연구
- 글쓰기 교육과 문장 단절의 문제
- 시선과 응시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1920년대 한국시의 전개 과정과 근대적 특성 연구
- 언어로서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의 의미론적 가정들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작문교육 관점
-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임진왜란 의병 실기에 나타나는 전란 경험 글쓰기 - 정경운의『 고대일록』을 대상으로
- 한국어 용언 어간 말음 /ㅎ/의 음운 현상 연구
- 다문화교육정책 방향 탐색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및 현황 비교·분석
- 리터러시 연구 13권 6호 목차
-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토론문] 한국 장학재단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및 삶의 질 분석
- [발표 3-4] 한국 장학재단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및 삶의 질 분석
- [토론문] 중고등학생의 참여자치역량 강화를 위한 서울교육정책 현황 및 개선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