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40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백아명(Bai Yaming) 김중수(Kim Jungsu)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6호, 241~26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22년 8월까지 발간된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현황을 확인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의 향후 발전 동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택함으로써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다른 연구들과 유사한 결과도 있었지만 선행 연구에서 드러나 지 않았던 연구 동향들이 드러났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한국어 문법 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은 교육 방안 또는 교수 방법과 같은 주제어는 높은 가중치를 차지하지 않았다. 중심성 분석 결과 토픽 모델링 분석에서는 드러나 지 않았던 주제어가 매개 중심성에서 가장 높은 위치로 나타났으며 다른 주제어와 연결정도가 높고 연결 관계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매개 중심성 분석 결과에 있는데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직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지는 않지만 키워드들을 매개해 주는 역할을 많이 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grammar in Korean education published from 2004 to August 2022, confirms the status of the research and identifies future development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as a foreign language. Its purpose is to seek. By choosing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as research methods, there were similar results to other studies that analyze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grammar; however, new research trends were reveale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research trend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did not occupy a high weight for keywords such as education plan or teach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centrality analysis, the subject word, which was not revealed i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ppeared at the highest position in mediation centrality, which means that the degree of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 words is high, and there are many connection relationships. Additionally if it is in the result of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but does not appear in degree centrality analysis, it means that it is not the subject of direct research bu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ediating keywords.
목차
1. 서론
2. 자료 수집 및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 감수성, 진보적 사회로 내딛기 위한 첫걸음 - 신지영, 『언어의 높이뛰기』, 인플루엔셜, 2021.
-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자료로부터의 추정과 연구자의 덕목 - 아먼드 단거의 『사랑에 빠진 소크라테스: 철학자의 탄생』 서평
- 재만조선인 심연수의 동아시아 심상지리와 상흔문학의 가능성
- 너의 표정을 짓고, 너-나의 흉터를 만지고 - 최윤 소설집 『동행』과 단편 「얼굴을 비울 때까지」
- 로컬리즘 교육을 위한 팀티칭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교양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창의적 글쓰기를 통한 서사 치유 방안 - 자전소설 쓰기를 중심으로
- 대학생 읽기 그릿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클라라와 태양>에 반영된 인공지능 로봇과 인간의 의사소통 연구 - 언어인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제 개발 연구 - 서울대학교 신입생 글쓰기 평가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쓰기 부진 진단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일제 통감부의 공창제도 이식 준비단계’에 관한 연구 -1908년 6~7월에 작성된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 노년 여성의 시 쓰기와 삶 읽기 - 『시가 뭐고?』, 『콩이나 쪼매 심고 놀지머』,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대학글쓰기 교육의 성찰적 주체 개념 연구
- 글쓰기 교육과 문장 단절의 문제
- 시선과 응시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1920년대 한국시의 전개 과정과 근대적 특성 연구
- 언어로서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의 의미론적 가정들
-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문목적 한국어 작문교육 관점
- ‘한글 맞춤법’의 문법 용어 고찰 - 언어 사용자의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임진왜란 의병 실기에 나타나는 전란 경험 글쓰기 - 정경운의『 고대일록』을 대상으로
- 한국어 용언 어간 말음 /ㅎ/의 음운 현상 연구
- 다문화교육정책 방향 탐색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및 현황 비교·분석
- 리터러시 연구 13권 6호 목차
- 원인은 숨어 있지만 결과는 만방에 드러나 있다 - 프라기야 아가왈, 이재경 옮김, 『편견의 이유』, 반니, 2021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및 교육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토론문] 한국 장학재단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및 삶의 질 분석
- [발표 3-4] 한국 장학재단 학자금 대출과 국가장학금 수혜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및 삶의 질 분석
- [토론문] 중고등학생의 참여자치역량 강화를 위한 서울교육정책 현황 및 개선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