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이용수 126
- 영문명
-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Art Education: The Case for ARToolKit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혜리(Ahn Hye-Ri) 천두만(Chun Doo-Man) 안성훈(Ahn Sung-Hoo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9권 3호, 455~4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또는 VR)과 구분되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또는 AR) 기술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 학계에서도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에 주목하면서 미술교육 분야에 AR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AR은 현실 환경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생성한 가상의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현실세계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AR은 새로운 교수-학습 매체로서 미술교육에 많은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조각, 공예, 건축 등 3차원의 시각적 정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향상시키고 현실환경에 기반하므로 미술학습의 내용을 실생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융통성있고 개별화된 미술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개발도구의 하나인 ARToolKit를 이용하여 미술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의 구성을 제시하고,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미술교육 사례로서 자연물과 조형물에서 입체 기본형 탐구학습과 입체조형물의 공간에 대한 학습을 소개하였다.
영문 초록
Today, the augmented reality or AR as a concept different from virtual reality has been given a great attention. AR is a combination of a real environment and a virtual information that augments a user'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 real world. This study has examined how the AR technology can be used in art education. The AR has a tremendous potential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technology for art education. For example, it enhances learner's perception of 3-D visual information including sculpture, crafts, and architecture. Also, it is interactive in real time that makes art education authentic and learner-centered. The AR system developed in this research was built on top of ARToolKit, which is an open architecture AR development program. The icons captured by digital camera were identified by the AR program, and pre-designed three-dimensional CAD objects substituted the icons. Then the display device showed overlapped image of the original picture and the CAD model. Using this program, the study suggests cases for learning 3-D typeforms found in nature and art objects and space around the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증강현실 기술의 이해
Ⅲ. 미술교육과 증강현실 기술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교육에서 질적, 양적 연구 방법의 통합
- 예술교육정책을 위한 미국연방예술기금 운영에 대한 연구
- 지식과 권력의 구조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담론과 미술교육
- 매체에 대한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미적 표현과 지원 - 창조주의교육에서의 지적 장애자와 학교교육 미술 표현 지원 -
-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초등미술교과서 개발 방안
- 초등교사 양성을 위한 미술실기 교육과정 기초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비교 분석 -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 한국·미국·일본 초등미술교육의 환경디자인 내용 및 지도방법 비교 연구
- 한국·미국·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연구 - 표현 방법 및 재료와 용구를 중심으로 -
- 유아기 심미감 발달과 연계한 물감수업의 탐구 - 뱅크스트리트, 레지오 에밀리아, 발도르프를 중심으로 -
- 컴퓨터의 다양한 한글 서체를 이용한 서예 수업 사례 연구
-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모형 탐색
-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품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 ARToolKit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